반응형
## MWC24 AI가 주도하는 모바일·이동통신 산업의 미래를 제시하다

2024년 3월 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 MWC24는 2023년 2월 29일 4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했습니다.

AI MWC24의 주인공으로 등장



올해 MWC의 주인공은 인공지능(AI)이었습니다. 국적과 업종을 막론하고 주요 기업들은 AI를 키워드로 내세웠습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번 MWC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스마트폰 모빌리티까지 모든 분야에 AI가 접목되고 확산되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협력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협력이 핵심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SK텔레콤 주도의 글로벌 텔코 AI 합작사 설립이 대표적입니다. 통신사들은 텔코 특화 소형언어모델(sLLM)을 기반으로 AI 컨택센터 에이전트 등 다양한 적용 사례를 선보이며 버티컬 영역에서 수익화 모델을 모색했습니다.

온디바이스 AI와 차세대 디바이스



기기 측면에서는 온디바이스 AI가 화두였습니다. 갤럭시 S24와 아너 매직 6 프로를 중심으로 한 AI폰부터 샤오미 테크노의 보행 로봇 등 AI를 탑재한 차세대 디바이스가 전면에 등장했습니다. 이를 겨냥한 AI 반도체 경쟁도 뜨거웠습니다.

중국의 약진과 폼팩터 다변화



폼팩터 측면에서는 중국의 약진이 돋보였습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링 모토로라의 벤더블폰 레노버 투명 노트북 테크노 롤러블폰 등 중국 기업들의 새로운 혁신 제품이 이목을 끌었습니다.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기조 연설에서 '향후에는 AI를 활용하는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을 벗어나 안경 등으로 진화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래 모빌리티



기체 형태 도심 항공 교통(UAM)과 플라잉 카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 제품도 상용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결론



MWC24는 AI가 모바일·이동통신 산업의 융합과 혁신을 이끌 핵심 기술임을 보여주었습니다.




참고:



■ 이 글은 2023년 3월 4일 전자신문 기사 'MWC24 AI로 돈 벌 수 있나…통신사·장비사 '갈등'…중국 '돌풍''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 현장 간담회 개최: 규제 개선과 정부 지원 요구

부산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 성공 조성을 위한 현장 간담회

가 2월 14일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는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형준 부산시장 그리고 HD한국조선해양 에코프로HN 등 7개 기업 대표가 참석하여 특구 성공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기업 대표들은 신기술 개발 후 현장 실증과 상용화 과정에서 규제 개선을 요구했습니다.

특히 암모니아 크래킹 기술의 국내 실증 가능성을 높여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또한 친환경 선박 분야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재정 지원을 강조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부산시는 즉시 반영 가능한 규제 개선과 정부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부산을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세계 시장 선도 도시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글로벌 혁신 특구 제도를 안착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혁신 특구

는 관련 법령 상 금지·제한을 제외한 모든 행위를 허용하는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 특례와 규제혁신 지원 체계를 적용하는 지역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비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글로벌 혁신 특구를 공모하여 부산(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강원(보건의료데이터) 충북(첨단재생바이오) 전남(에너지 신산업)을 선정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