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s -ef 명령은 너무 많은 프로세스들이 조회되어 찾기가 어렵다.

 

현재 메모리를 가장 많이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 10개만 보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ps -eo user,pid,ppid,rss,size,vsize,pmem,pcpu,time,cmd --sort -rss | head -n 11

-eo 다음에 나오는 항목들은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항목들이라서 필요한 것만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 조금 응용을 해서

특정 문구가 들어간 프로세스 목록을 찾으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ps -eo user,pid,ppid,rss,size,vsize,pmem,pcpu,time,cmd --sort -rss | head -n 11 | grep '찾고 싶은 문구'

 

head -n 11 을 빼면 찾고자 하는 문구가 들어간 모든 프로세스를 찾을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 계열에서도 크롬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지만

root 계정인 경우에는 실행이 안 된다.

 

이 경우 수고를 한번 해야 한다.

 

vi /usr/bin/google-chrome-stable

 

또는 자주 쓰는 에디터로 열어서

맨 마지막 줄에 보이는

exec -a "$0" "$HERE/chrome" "$@"

여기에 --user-data-dir --test-type --no-sandbox 옵션을 추가해준다.

 

exec -a "$0" "$HERE/chrome" "$@" -user-data-dir --test-type --no-sandbox

-user-data-dir 만 추가해줘도 된다고 하니 본인에 맞게 사용하면 되겠다.

 

 

같은 이유로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는 아래 파일을 열어 같은 옵션을 넣어줘야 한다.

vi /usr/bin/naver-whale-stable

 

반응형
반응형

우분투 데스크톱을 설치하면 바탕화면에 아무것도 없다.

자주 실행하는 앱의 바로가기를 추가하려면 마우스만으로는 쉽지 않다.

 

우선 파일 탐색기를 2개 실행한다.  (괄호의 명칭은 한글판인 경우다)

 

1개는 Home(홈) 에서 Desktop(데스크톱) 폴더를 열어놓는다.

 

다른 1개는 좌측아래 + other location (다른위치)를 눌러 Computer(컴퓨터) / usr / shared / applications 로 이동한다.

 

이제 원하는 앱을 찾아서 먼저 열어놓은 파일 탑색기의 Desktop(데스크톱) 폴더에 복사해야 한다.

문제는 앱이 아이콘과 앱 이름으로 나오는게 아니라 패키지명으로만 나온다.

 

참고로

터미널의 패키지 명은 org.gnome.Nautilus.desktop

파일탐색기의 패키지 명은 org.gnome.Terminal.desktop

 

파일 탑색기의 Desktop(데스크톱) 폴더에 복사를 했다고 끝난 게 아니다.

바탕화면에 아이콘은 안나오고 또 패키지명으로된 메모장 같은 아이콘만 나올 것이다.

 

그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Allow Launching 을 선택해야 제대로된 아이콘이 나오고 실행도 된다.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 쉘에서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새로운 창에서 열렸으면 할 때가 있다.

그럴 때 gnome-terminal 을 사용하면 된다.

gnome-terminal --title "title" ./test.sh

--title 옵션은 새창 상단에 제목을 표시해주는데... 내가 쓰는 ubuntu 에서는 안 된다. 에러도 없다.

 

새창이 아닌 새 탭으로 열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tab 옵션을 붙여준다.

gnome-terminal --title "title" --tab ./test.sh

 

반응형
반응형

디스코드 웹훅을 이용해서 현재 리눅스 서버의 스토리지 사용량을 전달받는 스크립트를 만들어 보았다.

사실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려고 만들었다.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plex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스토리지가 꽉 차서 먹통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량을 자주 파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bin/bash

## 디스코드 웹훅 URL - 이대로 쓰시면 안 됩니다. 본인 디스코드에서 생성하여 넣어주세요.
discord_webhook_url="https://discordapp.com/api/webhooks/...(생략).../...(생략)...."

## 주 사용 스토리지명 - df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음 - 본인한테 맞는 스토리지명으로 수정
storage="/dev/sda1"

## 현재 서버 IP를 가져와 변수(my_ip)에 저장
my_ip=$(curl -s http://ifconfig.me)

## df 명령어를 실행하면 나오는 정보 중 주 사용 스토리지의 정보 중 % 앞 부분만 변수(storage_line)에 저장
storage_line=$(df | grep $storage" " | cut -d "%" -f1)

## 뒤에서 두자리만 가져와 변수(used_rate)에 저장 - 100% 이면 00을 가져옴
used_rate="${storage_line:(-2)}"

## 사용량이 100% 일때는 used_date 가 00 이므로 100으로 바꿔줌
if [ $used_rate -eq "00" ]
then
	used_rate="100"
fi

## 날짜표시
timestamp=`date "+%Y년 %m월 %d일 %H시 %M분"`

## 디스코드 알림 메시지 (시간 - IP - 스토리지 사용률 : n%)
msg="${timestamp} - IP : ${my_ip} - 스토리지 사용률 : ${used_rate}"

## curl 명령을 사용하여 디스코드 웹훅 전송
curl -X POST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 "{ \"content\":\"$msg%\" }" \
$discord_webhook_url

 

이걸 sh 파일로 저장해서 crontab -e 에 저장해서 스케쥴을 걸어서 사용하면 편하다.

 

0 */1 * * * ~/discord_send_저장공간사용량.sh

 

이렇게 하면 1시간에 1번씩 사용량을 디스코드로 보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