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agicLine4NX 舊버전(1.0.0.26 이하) 삭제 및 업데이트 권고



국정원, 과기부, KISA, 금보원, 안랩, 하우리, 이스트시큐리티, 드림시큐리티社는 북한 해커가 MagicLine4NX 舊버전을 악용한 해킹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해당 S/W를 삭제 혹은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고했다.

MagicLine4NX 舊버전(1.0.0.26 이하)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악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해당 S/W를 사용 중인 기업은 11월 15일부터 안랩(V3), 하우리(바이로봇), 이스트시큐리티(알약) 백신에서 탐지 및 삭제될 예정이므로, 사전에 삭제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삭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전용 도구를 활용한 방법과 윈도우 제어판에서 직접 삭제하는 방법이 있다. 전용 도구는 드림시큐리티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삭제 후 인증서 이용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웹 브라우저 인증서를 이용하면 된다. 웹 브라우저 인증서 사용 방법은 드림시큐리티 홈페이지에서 안내서를 다운로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정원, 과기부, KISA, 금보원, 안랩, 하우리, 이스트시큐리티, 드림시큐리티社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추석 연휴, 랜섬웨어와 스미싱 피해 예방하세요!



추석 연휴가 다가오면서 랜섬웨어와 스미싱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PC나 서버에 파일을 암호화하고, 해독키를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입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사용자를 속여 개인정보나 금전을 탈취하는 수법입니다.

랜섬웨어 피해 예방 수칙


■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이나 파일을 열지 마세요.
■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 백신을 설치하고 실시간 감시를 실행하세요.
■ 중요한 자료는 별도의 저장소에 백업하세요.

스미싱 피해 예방 수칙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메시지의 링크를 클릭하지 마세요.
■ 의심되는 문자메시지는 통신사 고객센터에 신고하세요.
■ 모바일 결제 내역을 수시로 확인하세요.
■ 번호 도용문자차단서비스를 신청하세요.

추석 연휴 대비 보안 강화


■ 출근하지 않는 기간 동안 기업의 보안 관리자는 랜섬웨어 감염 여부를 수시로 점검하세요.
■ 개인은 출근하지 않는 기간 동안 휴대폰을 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피해 발생 시 대응 방법


■ 랜섬웨어 감염 시, 백신을 통해 해독을 시도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 스미싱 피해 시, 통신사 고객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서에 피해를 신고하세요.

추석 연휴를 안전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