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샌즈랩 포티투마루 LG유플러스 사이버 보안 강화 위한 LLM 공동 개발

샌즈랩 포티투마루 LG유플러스는 3월 4일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한 대형언어모델(LLM) 기술 공동 개발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



■ 목표:

사이버 보안 핵심 4대 분야(보안 관제 위협 인텔리전스 이상 징후 분석 취약점 식별)에 특화된 LLM 구축 및 배포 체계 구축

■ 역할 분담:


* LG유플러스: LLM 개발 고객 정보 보호 안전망 구축
* 포티투마루: 사이버 보안 및 범죄 예방 특화 LLM 모델링 RAG 기술 개발
* 샌즈랩: 기업 내부 인프라 운영 가능한 데이터셋 개발

■ 기대 효과:


* 기업 내 LLM 활용 및 제어를 통한 정보 유출 위험 감소
* 사이버 범죄 선제 대응
* 국내 보안 기술 수준 향상
* 고객 정보 보호 강화 및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

3사의 협력은 혁신적인 AI 보안 환경 조성을 기대하게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 시행 1년만에 5건 실적 기록하며 유의미한 성과 달성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공공시장 진출 가속화



2022년 11월 시행된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는 1년 동안 총 5개 제품의 인증을 받으며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신속확인제는 신기술 및 융·복합 등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 진입을 열어 주는 제도입니다.

초기부터 안정적인 시장 안착



국제 공통평가기준(CC인증)과 성능평가 등 유사한 제도는 시행 첫해 획득(통과) 실적이 1~2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신속확인제는 초기부터 안정적인 시장 안착에 성공했습니다.

현장 혼선 해소 위한 체크리스트 도입



다만 현장에서는 자사 제품이 신속확인제 대상 제품인지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했습니다. 이에 KISA는 올해 신속확인제 개선책 중 하나로 체크리스트를 제시할 계획입니다. 체크리스트는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에서 정의하는 34종의 제품유형 운용 환경과 보안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유사 항목별로 분류하여 제작될 예정입니다.

정보보호기업의 자체 판단 지원



체크리스트가 완성되면 정보보호기업은 이를 바탕으로 자사 제품이 신속확인제 대상 제품인지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ISA 관계자는 '정보보호기업이 자체적으로 신속확인제품 여부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2023년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 제품 현황



| 제품 | 인증일 |
|---|---|
| 에프원시큐리티 F1-웹캐슬 | 2022년 4월 |
| SGA솔루션즈(브이이지스) | 2022년 5월 |
| 프라이빗테크놀로지(패킷고) | 2022년 9월 |
| 소프트캠프(실덱스 리모트 브라우저) | 2022년 10월 |
| 아톤(mOTP) | 2022년 11월 |

기대 효과



신속확인제는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공공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공공기관의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인터넷진흥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인성디지탈 글로벌 보안 기업 이셋코리아와 총판 계약 체결

인성디지탈

은 2024년 2월 26일 글로벌 디지털 보안 기업

이셋코리아

와 정식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약을 통해:



■ 인성디지탈은 경쟁력 있는

이셋 백신 제품

을 국내 보안 파트너를 통해 고객에게 공급합니다.
■ 이셋코리아는 인성디지탈의 풍부한 영업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엔드포인트 보안

클라우드 기반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 솔루션(EDR)

시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셋

은 10000개 이상의 MSP와 24000개 이상의 리셀러로 구성된 대규모 파트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랜섬웨어 피싱 스파이웨어 등 다양한 위협에 대한 탁월한 탐지 및 차단 성능으로 입증된 최상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셋코리아 이창규 대표

는 '이번 계약을 통해 국내 IT 전문 솔루션 유통 기업 인성디지탈과 함께 하게 됐다'며 '인성디지탈을 통해 한국 시장 고객들에게 최상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성디지탈 이인영 대표

는 '이셋은 사이버 보안의 세계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글로벌 파트너 네트워크에 대한 최고의 보안 벤더'라며 '인성디지탈의 파트너들이 사이버 보안 비즈니스를 발전시키고 다양한 유형의 위협으로부터 고객을 지속적으로 보호하고 도울 수 있도록 이셋과 함께 협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참고:



■ 이셋 백신 제품: [https://www.eset.com/kr/](https://www.eset.com/kr/)
■ 엔드포인트 보안: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 클라우드 기반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 솔루션(EDR):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 티오리 새로운 CI 공개

사이버 보안 전문 기업 티오리가 오펜시브 시큐리티 기술력을 강조하는 새로운 CI를 도입했다고 20일 발표했습니다.

변경된 CI는 날렵한 선을 활용하여 티오리의 선제적인 위험 대응 능력과 진정성 자신감을 표현합니다. 또한 이론(Theory)에서 시작하여 혁신(Innovation)을 만들어내는 티오리의 사명을 담아 알파벳 'T'와 'I'를 강조했습니다.

박세준 대표는 '새로운 CI를 통해 사이버 보안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사이버 위협에 맞서는 인공지능 전문가 샌디(SANDY) 등장!

샌즈랩 기업 내부 인프라에서 직접 운영 제어가 가능한 구축형 sLLM 모델 '샌디(SANDY)' 개발



샌즈랩은 최근 CTX for GPT에 이어 기업 내부 인프라에서 직접 운영 제어가 가능한 구축형 형태의 경량화 거대언어모델(sLLM) 모델 '샌디(SANDY)'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샌디의 특징:



■ 기업 내부 네트워크 내에서 작동:

데이터 유출 위험 감소

■ 대규모 언어 처리 기능:

보고서 요약 교정 해킹 대응 정보 검색 등 자동화

■ 인공지능 사이버 보안 전문가:

기업의 프라이버시와 규정 준수 요구사항 충족

샌즈랩 김기홍 대표의 말:



■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셋 활용은 보안 기술 발전과 산업 혁신의 핵심'
■ '향상된 위협 탐지 및 대응 능력을 위한 생성형 AI LLM RPA 기술 개발 필수'
■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 전문 업체와 협력하여 글로벌 기술 개발 가속화'

샌디는 기업의 사이버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보다 안전한 디지털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로그프레소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에 SIEM/SOAR 플랫폼 제공

클라우드 SIEM 전문기업 로그프레소가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에 SIEM/SOAR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로 국내 정보보호 기업 간 연합을 유도하고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추진하는 정책입니다.

로그프레소는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에 참여하는 모든 기업들에게 SIEM/SOAR 플랫폼과 글로벌 수준의 API SDK 및 문서를 제공합니다.

기업들은 로그프레소 SDK를 활용해 통합보안 모델을 직접 개발할 수 있으며 현재 110개 이상의 앱이 등록된 로그프레소 스토어 사이트를 통해 배포할 수 있습니다.

로그프레소의 SIEM/SOAR는 오픈소스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 자체 기술로 만들어낸 플랫폼입니다.

지난 2022년 TTA의 빅데이터 성능 평가 시험에서 단일노드 인덱싱 성능 270만 EPS를 인정 받았습니다.

로그프레소는 사이버 보안 산업의 개방형 생태계를 만들고 함께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기업 간 협력으로 시장에 다양한 통합보안 모델을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Mastodon 업데이트 공개 - 원격 계정 탈취 취약점 해결

개요



오픈소스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 Mastodon에서 발생하는 원격 계정 탈취 취약점(CVE-2024-23832) 해결을 위한 업데이트가 공개되었습니다.

영향받는 플랫폼 및 해결 방안



| 취약점 | 플랫폼 | 영향받는 버전 | 해결 버전 |
|---|---|---|---|
| CVE-2024-23832 | Mastodon | 3.5.17 이전 | 3.5.17 | 4.0.x | 4.0.13 | 4.1.x | 4.1.13 | 4.2.x | 4.2.5 |

해결 방법



- 사용 중인 Mastodon 버전이 영향받는 버전인지 확인합니다.
- 영향받는 버전을 사용 중인 경우 즉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업데이트 방법



- 각 플랫폼별 업데이트 방법은 참고사이트를 확인하세요.

참고사이트



- [https://github.com/mastodon/mastodon/releases/tag/v4.2.5](https://github.com/mastodon/mastodon/releases/tag/v4.2.5)
-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4-23832](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4-23832)

문의사항



-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민원센터: 국번없이 118

주의사항



- 업데이트를 미루면 공격자가 사용자 계정을 탈취하여 악용할 수 있습니다.
- 즉시 업데이트하여 시스템을 보호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KISA-국방기술품질원, 방산 분야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 협약 체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국방기술품질원(기품원)이 2023년 12월 5일, 방산 분야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및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사이버 침해사고 공동 대응 협력 ▲사이버위협정보분석·공유시스템(C-TAS)을 활용한 상호 위협 정보 공유협력 ▲방산 관련 지역별 중소업체 대상 개인정보 및 정보보호 교육 지원 ▲정보보호 서비스 활용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하게 됩니다.

구체적으로, 양 기관은 방산 분야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 시 원인 분석, 공동조사 및 결과 공유 등을 통해 재발 및 피해확산을 방지하고, 사이버위협정보 분석·공유시스템(C-TAS)을 통해 악성코드 및 취약점, 악성 사이트 등 방산 분야 침해사고 예방·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계획입니다.

또한, 방산 분야의 기술 유출 예방을 위해 KISA 지역정보보호지원센터를 활용해 지역별 중소 방위산업체 재직자를 중심으로 개인정보 및 정보보호 교육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KISA 이원태 원장은 '방산 분야는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영역인 만큼, 사이버 위협 예방·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방산 분야의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와 우리나라 첨단 방위산업기술의 유출 예방·대응 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협약을 통해 방산 분야의 사이버 보안 역량이 강화되고, 국가안보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