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 시행 1년만에 5건 실적 기록하며 유의미한 성과 달성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공공시장 진출 가속화



2022년 11월 시행된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는 1년 동안 총 5개 제품의 인증을 받으며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신속확인제는 신기술 및 융·복합 등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 진입을 열어 주는 제도입니다.

초기부터 안정적인 시장 안착



국제 공통평가기준(CC인증)과 성능평가 등 유사한 제도는 시행 첫해 획득(통과) 실적이 1~2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신속확인제는 초기부터 안정적인 시장 안착에 성공했습니다.

현장 혼선 해소 위한 체크리스트 도입



다만 현장에서는 자사 제품이 신속확인제 대상 제품인지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했습니다. 이에 KISA는 올해 신속확인제 개선책 중 하나로 체크리스트를 제시할 계획입니다. 체크리스트는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에서 정의하는 34종의 제품유형 운용 환경과 보안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유사 항목별로 분류하여 제작될 예정입니다.

정보보호기업의 자체 판단 지원



체크리스트가 완성되면 정보보호기업은 이를 바탕으로 자사 제품이 신속확인제 대상 제품인지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ISA 관계자는 '정보보호기업이 자체적으로 신속확인제품 여부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2023년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 제품 현황



| 제품 | 인증일 |
|---|---|
| 에프원시큐리티 F1-웹캐슬 | 2022년 4월 |
| SGA솔루션즈(브이이지스) | 2022년 5월 |
| 프라이빗테크놀로지(패킷고) | 2022년 9월 |
| 소프트캠프(실덱스 리모트 브라우저) | 2022년 10월 |
| 아톤(mOTP) | 2022년 11월 |

기대 효과



신속확인제는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공공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공공기관의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자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인터넷진흥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지원 사업 실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정보보호제품의 성능향상과 성능평가제도 활성화를 위해 대상제품군에 대한 성능평가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내 정보보호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성능평가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원 대상은 네트워크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 웹방화벽, 안티바이러스 제품, DDoS 대응 장비,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 도구, 네트워크 자료유출방지 제품, 단말 이상행위 탐지 및 대응 제품 등 총 14개 제품군이다.

지원 신청은 오는 8월 25일까지 KISA 누리집에서 할 수 있다. 신청 기업은 성능평가 신청서, 계약서, 설문지, 서약서, 법인등기부등본, 중소기업확인서, 제품설명서 및 취급설명서를 제출해야 한다.

KISA는 신청 기업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지원금을 최대 80%까지 지원한다. 지원금은 성능평가 컨설팅비, 성능평가 시험비, 성능평가 보고서 작성비 등 성능평가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한다.

성능평가는 오는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며, 성능평가 결과는 KISA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KISA는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정보보호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성능평가제도를 활성화해 국민의 정보보호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KISA 누리집(www.kis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정보보호제품의 성능향상과 성능평가제도 활성화를 위해 2023년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지원 공모 사업을 실시합니다.

이 사업은 국내 정보보호제품 개발 기업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성능평가를 통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공공기관 도입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대한민국에 본사를 둔 국내 정보보호제품 개발 기업으로, 총 14종의 제품군을 대상으로 합니다. 제품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공공용: DDoS 대응장비,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도구, 안티바이러스제품(Windows, Linux, Mobile)
■ 일부공공용: 네트워크 방화벽, APT 대응장비, 침입방지시스템, 차세대 방화벽, 웹방화벽, 안티바이러스 제품(모듈형), VPN(IPSec VPN, SSL VPN), 네트워크 자료유출방지 제품, 단말 이상행위 탐지 및 대응 제품(EDR)

지원 기간은 2023년 8월 7일 ~ 2023년 8월 18일입니다.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KISA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한 후 각 성능평가기관에 제출하면 됩니다.

지원혜택은 성능평가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는 것으로, 최대 80%의 비용을 지원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KISA 홈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이번 공모 사업에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2023년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자 양성교육 신청 안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자 양성교육을 실시합니다. 이번 교육은 정보보호제품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과 절차를 습득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유익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육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에 관심 있는 자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분야 취업을 희망하는 자

교육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3년 9월 4일(월) ~ 9월 8일(금)

교육장소는 한국인터넷진흥원 서울청사 IT벤처타워 서관 8층 Lab2실입니다.

교육비는 무료입니다.

교육신청은 2023년 7월 24일(월)부터 8월 11일(금)까지 KISA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서
■ 경력증명서
■ 기술실적증명서
■ 최종학위 증명서
■ 자격증 사본

교육문의는 KISA 시험평가본부 성능평가팀(02-405-6478)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교육내용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개요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절차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방법론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도구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사례

교육혜택

■ 교육 수료증 발급
■ KISA 시험평가본부 성능평가팀 인턴십 기회 제공

참가자격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에 관심 있는 자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
■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분야 취업을 희망하는 자

교육비

■ 무료

신청기간

■ 2023년 7월 24일(월) ~ 8월 11일(금)

신청방법

■ KISA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신청서류

■ 신청서
■ 경력증명서
■ 기술실적증명서
■ 최종학위 증명서
■ 자격증 사본

교육문의

■ KISA 시험평가본부 성능평가팀(02-405-6478)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제품 성능평가 지원 공모 사업 실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정보보호제품의 성능향상과 성능평가제도 활성화를 위해 대상제품군에 대한 성능평가 지원 사업을 실시합니다.

지원 대상은 대한민국에 본사를 둔 국내 정보보호제품 개발 기업으로, 네트워크 방화벽, APT 대응장비, 침입방지시스템, 차세대 방화벽, 웹방화벽, 안티바이러스 제품(모듈형), VPN(IPSec VPN, SSL VPN), 네트워크 자료유출방지 제품, 단말 이상행위 탐지 및 대응 제품(EDR), DDoS 대응장비, 소스코드 보안약점 진단도구, 안티바이러스제품(Windows, Linux, Mobile) 등 총 14종 제품군입니다.

신청기간은 2023년 7월 10일 ~ 2023년 7월 24일, 18:00까지입니다. 신청방법은 각 성능평가기관(4개 기관)에 이메일로 제출하면 됩니다.

지원혜택은 성능평가·컨설팅 비용 일부 지원(4개 제품, 제품 당 최대 15백만원 이내)입니다. 성능평가·컨설팅 비용 최대 80% 정부지원(최소 8백만원 ~ 최대 15백만원), 그 외 신청기업 부담(부가가치세를 제외한 80%에 해당되는 금액이 15백만원을 초과할 경우 차액 신청기업이 분담)입니다.

지원조건은 성능평가 확인서 발급 제품에 한해 평가기관에 수수료 지급입니다. 기술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여 확인서를 발급한 제품에 한해 수수료 지급(기술심의위원회 심의까지 '23년 12월 8일 이전 완료 必)입니다.

선정기준은 신청기업이 제출한 서면 자료 및 추가 설문 등을 통해 회사 규모, 성능평가 준비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자체 선정기준에 의해 평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kisa.or.kr/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