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워크스테이션 올해 AI 업무의 주인공으로 떠오르다

2024년 AI는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니다. 63%의 기업들이 올해 AI 관련 업무를 위해 워크스테이션을 도입할 예정이다. 특히 스타트업들은 AI 워크로드를 로컬에서 수행하기 위해 워크스테이션 도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AI 모델 트레이닝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학습 데이터 준비 및 가공

등이 워크스테이션 활용의 주요 분야로 꼽혔다. 이는 작년에 비해 AI 관련 워크로드 처리에 워크스테이션 활용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문 직무 응답자뿐 아니라 일반 사무직 응답자들도 워크스테이션 도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일반적인 업무 환경에서 다루는 워크로드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워크스테이션 도입의 주요 이유

는 다음과 같다.

■ 고성능

: 44.1%

■ 유연성

: 33.7%

■ CPU 및 GPU 성능

: 85.3%

■ 스토리지와 메모리

: 56.0%

■ 시스템 안정성

: 39.7%

델테크놀로지스 김경진 총괄사장

은 'AI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워크스테이션은 최적화된 도구이며 비용 효율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하며 '델테크놀로지스는 기업들이 워크스테이션을 통해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전략과 고객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업무용 PC 개인정보 보호조치 점검도구 기능개선 용역 사전 공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23년 10월 12일까지 업무용 PC 개인정보 보호조치 점검도구 기능개선 용역의 제안요청서(규격서)를 사전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현재 운영 중인 업무용 PC 개인정보 보호조치 점검도구의 기능을 개선하여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개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개인정보보호 위험도 평가 기능 추가
■ 개인정보보호 조치 미흡 사항에 대한 자동화 점검 기능 강화
■ 점검 결과의 시각화 및 분석 기능 개선

용역 예산은 50,000,000원(부가세 포함)이며, 입찰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KISA 홈페이지에서 제안요청서를 다운로드하여 제출하면 된다.

KISA는 이번 용역을 통해 업무용 PC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예방하고,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업무용 PC 개인정보 보호조치 점검도구 기능개선 용역을 사전 공개
■ 용역 예산은 50,000,000원(부가세 포함)
■ 주요 개선 내용은 위험도 평가, 자동화 점검, 시각화 및 분석 강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