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아나로그디바이스 TSMC와 장기 웨이퍼 공급 계약 체결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 TSMC와 손잡고 핵심 플랫폼 생산량 확대



아나로그디바이스(ADI)는 23일 TSMC와 장기적인 웨이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ADI는 TSMC의 자회사 JASM으로부터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를 공급받게 된다.

30년 넘게 이어져 온 두 회사의 파트너십은 이번 계약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ADI는 무선BMS 기가비트 멀티미디어 시리얼 링크 애플리케이션 등 핵심 플랫폼에 필요한 미세 피치 기술 노드의 웨이퍼 물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번 협력은 반도체 공급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고객의 요구에 맞춰 생산량을 늘리고 확장할 수 있도록 ADI의 탄력적인 하이브리드 제조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DI의 비벡 자인 글로벌 운영 및 기술 총괄 수석 부사장은 'TSMC와의 협력을 통해 고객에게 보다 탄력적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혁신적인 제조 솔루션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TSMC의 사지브 달랄 북미 사업 개발 총괄 수석 부사장은 '이번 계약은 고객의 장기적인 생산 능력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반도체 혁신에 기여하는 ADI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내용



■ 아나로그디바이스 TSMC와 장기 웨이퍼 공급 계약 체결
■ TSMC 자회사 JASM으로부터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 공급받아
■ 핵심 플랫폼 생산량 확대 및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 탄력적인 하이브리드 제조 네트워크 강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2023년 불법복제 SW 사용 현황: 제보 건수 1000건 넘어 침해 규모 100억 원 돌파

2023년 불법복제 SW 사용 제보 건수가 연간 1000건을 넘어섰고 침해 규모는 1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불법복제 SW 제보 서비스 '엔젤'에 접수된 불법복제 프로그램은 총 956건으로 이 중 일반사무용 SW가 273건(29%)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화학 업종에서 139건(27%)으로 가장 높은 침해율을 보였습니다.

불법복제 SW 사용 유형은 처음부터 정품 SW를 구입하지 않고 카피본이나 크랙 제품을 사용하는 '정품 미보유'가 62%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계약된 라이선스를 위반하거나 구입 SW 수량보다 더 많은 양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라이선스 위반(초과사용 포함)'도 2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는 SW 불법복제 사용이 기업에 리스크를 야기하고 SW 산업 전체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기업 차원에서 SW에 대한 철저한 주의·감독 및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SW 저작권 교육을 실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주요 내용



■ 2023년 불법복제 SW 제보 건수: 956건
■ 침해 규모: 100억 원
■ 가장 많은 불법복제 SW 유형: 일반사무용 SW (273건 29%)
■ 가장 높은 침해율 업종: 제조/화학 업종 (139건 27%)
■ 불법복제 SW 사용 유형:
* 정품 미보유 (62%)
* 라이선스 위반(초과사용 포함) (29%)
■ 불법복제 SW 사용의 위험:
* 기업에 리스크 발생
* SW 산업 전체에 악영향

출처



■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2024년, AI 반도체 시장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글로벌 시장:



■ 엔비디아, 여전히 시장 지배적이지만, 가격대 성능비 및 와트당 성능 문제는 여전.
■ 미국, 중국, 한국 등 각 국가에서 AI 반도체 스타트업들이 성장하고 있음.
■ 엔비디아 대체 가능한 제품 등장 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

주요 기업:



■ 엔비디아:

70% 이상 시장 점유율, H200 및 GH200 출시 예정.

■ 셀레브라스:

WSE-2 칩으로 대형 단일 칩 시스템 구축, IPO 도입 고려.

■ 그래프코어:

IPU 개발, 미국 수출 규제로 어려움 겪고 있음.

■ 텐스토렌트:

RISC-V 기반 AI 칩 개발, 그레이스컬 칩셋 출시 예정.

■ 캠브리콘:

중국 AI 반도체 기업, 연이은 손실로 존폐 위기.

한국 기업:



■ 퓨리오사AI:

워보이, 레니게이드 AI 가속기 출시, 엔비디아 대체 가능성.

■ 리벨리온: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아톰 출시 예정.

■ 사피온: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X330 출시.

■ 딥엑스:

비전 및 자율주행용 AI 토탈 솔루션 출시.

2024년 전망:



■ AI 가속기 시장 성장 예상.
■ 엔비디아 대체 가능한 제품 등장 시 경쟁 심화.
■ 생태계 구축 중요.
■ 한국 AI 스타트업 성장 기대.

참고:



■ 글 출처: IT동아 남시현 기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