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CP+ 2024: 주요 카메라 제조사들의 출시 예상 제품 및 소식

캐논:



■ 기함급 기종 EOS R1 공개 가능성 높음
■ EOS R5 마크 II R7 마크 II RF 200-500mm F4L IS USM 렌즈 RF 70-200mm F2.8L IS USM II RF 28-70mm F2L USM II 등 출시 가능성

니콘:



■ 중견 라인업 Z6 III 공개 가능성 높음
■ 35mm f/1.2 S 렌즈 28-400mm f/3.5-6.3 울트라 줌 렌즈 등 출시 가능성

소니:



■ 뚜렷하게 출시 예상되는 제품 없음
■ 소니 ZV-E10 마크 II 24-50mm f/2.8 G 85mm f/1.4 GM II 렌즈 등 출시 가능성

후지필름:



■ X100 VI 출시 확정
■ GFX100S II 출시 가능성

파나소닉:



■ GH7 28-200mm 슈퍼 줌 렌즈 출시 가능성

시그마:



■ 500mm f/5.6 DG DN OS 15mm f/1.4 DG DN 어안렌즈 출시 가능성

리코:



■ GR 카메라 신작 출시 가능성
■ 라이카 SL3 미러리스 카메라 라이카 Q 신작 혹은 렌즈 출시 가능성

참고:



■ 2024년 2월 25일 기준
■ CP+는 일본 최대 카메라 관련 행사
■ 2024년 2월 22일부터 25일까지 일본 파시피코 요코하마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CP+ 2024: 주요 카메라 브랜드들의 출시 예상 제품 및 소식

캐논:



■ 기함급 기종 EOS R1 공개 가능성 높음
■ EOS R5 마크 II R7 마크 II RF 200-500mm F4L IS USM 렌즈 RF 70-200mm F2.8L IS USM 두 번째 모델 RF 28-70mm F2L USM II 등 공개 가능성

니콘:



■ Z6 시리즈의 세 번째 모델 Z6 III 공개 가능성 높음
■ 35mm f/1.2 S 렌즈 28-400mm f/3.5-6.3 울트라 줌 렌즈 미상의 카메라 공개 가능성

소니:



■ 소니 ZV-E10 마크 II 24-50mm f/2.8 G 렌즈 85mm f/1.4 GM II 렌즈 등 공개 가능성

후지필름:



■ X100 VI 공개 확정
■ GFX100S II 공개 가능성

파나소닉:



■ GH7 28-200mm 슈퍼 줌 렌즈 공개 가능성

시그마:



■ 500mm f/5.6 DG DN OS 15mm f/1.4 DG DN 어안렌즈 공개 가능성

리코:



■ GR 카메라 신작 공개 가능성

라이카:



■ SL3 미러리스 카메라 라이카 Q 신작 여러 렌즈 공개 가능성

참고:



■ CP+ 2024는 2024년 2월 22일부터 25일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
■ 글 작성 시 ' 와 ' 와 ' 와 ' 와 ″ 와 ' 와 ' 와 ` 는 제외
■ 한 문장이 끝날 때 줄바꿈 문자
포함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LG전자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AI 아티스트 스테파니 딘킨스와 협업 전시 개최

LG전자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인간과 인공지능(AI) 기술 사이의 소통과 공감을 담은 예술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AI 아티스트 스테파니 딘킨스와의 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LG전자의 최첨단 올레드 디스플레이 기술과 딘킨스의 독창적인 AI 예술이 만나 색다른 경험을 선사했다.

AI와 인간의 소통 올레드 디스플레이로 생생하게 표현



전시에서 가장 눈길을 끈 작품은 97형 올레드 에보(evo)를 활용한 관객 참여형 작품이었다. 관람객들은 '우리가 기계에 들려주는 이야기'라는 주제로 자신의 생각을 마이크를 통해 전달하면 AI가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올레드 TV 화면에 반영해냈다. 마치 AI와 직접 대화하는 듯한 몰입감 넘치는 경험을 제공했다.

AI가 그린 예술 작품 올레드 화질로 더욱 생생하게



이외에도 전시장 곳곳에는 AI가 직접 그린 예술 작품들이 올레드 디스플레이에 전시되었다. 올레드의 뛰어난 명암비와 색 재현력은 AI 작품의 미묘한 표현과 세밀한 부분까지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LG전자 AI 기술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 제공



LG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AI 기술이 예술 분야에도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올레드 디스플레이가 단순한 화면을 넘어 AI 기술과의 시너지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LG 올레드 에보 AI 기술과의 만남으로 더욱 진화



올해 출시된 LG 올레드 에보는 AI 전용 화질/음질 엔진인 '알파11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AI 성능을 한층 강화했다. 영상 제작자의 의도를 고려해 색을 보정하는 등 더욱 사실적이고 감동적인 영상 경험을 제공한다.

LG전자는 앞으로도 AI 기술과 올레드 디스플레이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차별화되고 감동적인 경험을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2024년 CP+에서 기대되는 신제품 카메라와 렌즈

캐논:



■ 고성능 기함급 기종 EOS R1 공개 가능성 높음
■ EOS R5 마크 II R7 마크 II RF 200-500mm F4L IS USM 렌즈 등 공개 가능성도 있음

니콘:



■ 중견 라인업 Z6 III 공개 예상
■ 6K 60p NRAW 촬영 4K60p ProRes RAW 촬영 지원 8스톱 방지 기능 등 탑재 예상
■ 35mm f/1.2 S 렌즈 28-400mm f/3.5-6.3 울트라 줌 렌즈 등 공개 가능성도 있음

소니:



■ 뚜렷하게 출시가 예상되는 제품은 없음
■ 소니 ZV-E10 마크 II 24-50mm f/2.8 G 렌즈 85mm f/1.4 GM II 렌즈 등 공개 가능성은 있음

후지필름:



■ X100 VI 출시 확정
■ X 서밋에서 발표 예정
■ 중형 카메라 GFX100S II 등장 가능성도 있음

파나소닉:



■ GH7 28-200mm 슈퍼 줌 렌즈 공개 가능성

시그마:



■ 500mm f/5.6 DG DN OS 15mm f/1.4 DG DN 어안렌즈 공개 가능성

리코:



■ GR 신제품 등장 가능성
■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공개 예정

기타:



■ 라이카 SL3 미러리스 카메라 라이카 Q 신작 등장 가능성

출처: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네이버페이 AI 얼굴인식 결제 '페이스사인' 상용화 첫 발 내딛는다

네이버페이가 인공지능(AI) 얼굴인식 기반 '페이스사인' 결제 플랫폼을 상용화한다고 20일 밝혔다. 내달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를 시작으로 확대를 검토한다.

페이스사인은 AI 얼굴인식 기술 기반 결제 시스템이다. 네이버 AI 얼굴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딥러닝 모델을 적용했다. 0.1초 수준으로 빠르게 인식하고 99% 이상 정확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네이버 사옥 '1784'에 도입돼 네이버 직원들의 결제 게이트 출입 시스템 로그인 등에 활용되며 시스템 안전성과 편의성을 검증받았다.

네이버페이는 페이스사인 외부 도입 첫 무대로 경희대 서울캠퍼스를 점찍었다. 캠퍼스에 시스템이 도입되면 학생이 동의 후 사전 등록한 얼굴에 대한 입체적 정보를 기반으로 카드나 다른 결제수단 없이 캠퍼스내 학생식당 매점 등 다양한 결제처에서 빠르고 편리한 결제가 가능해진다.

페이스사인은 지난해 8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금융위 주관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에서 시연을 통해 대중에 공개됐다. 1회 얼굴 등록 후 쉽고 간편하게 이용 가능한 미래 결제 트렌드로 큰 주목을 받았다.

보안성과 안전성도 검증을 마쳤다. 사람 체온과 입체감 등을 인식해 실물이 아닌 사진이나 영상 등을 이용한 얼굴 인식은 원천 차단한다. 얼굴 인식 등 관련 정보는 클라우드에 보안 안전성을 높였다.

네이버페이는 페이스사인 도입 후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시스템 고도화에 나설 방침이다. 캠퍼스 내 결제 활성화 전략과 서비스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사용자경험(UX) 개선방안 등에 대한 목소리를 반영할 계획이다. 경희대 재학생을 대상으로 페이스사인 결제 활성화와 개선방안을 제시할 대학생 서포터즈도 모집한다.




페이스사인 주요 특징



■ 0.1초 수준 빠른 인식 속도
■ 99% 이상 높은 정확도
■ 카드나 다른 결제수단 없이 간편 결제
■ 높은 보안성과 안전성

페이스사인 상용화 첫 발



■ 3월 중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입
■ 캠퍼스 내 학생식당 매점 등 다양한 결제처에서 이용 가능
■ 학생 동의 후 사전 등록 필요

향후 계획



■ 현장 목소리 반영을 통한 시스템 고도화
■ 캠퍼스 내 결제 활성화 전략 마련
■ 서비스 및 UI/UX 개선
■ 경희대 재학생 대상 대학생 서포터즈 모집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동남아 시장 진출 기업 틱톡 라이브로 현지 인플루언서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

동남아시아 마케팅 전문 기업 매드스퀘어(서비스명 '카리스')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코스맥스 라이브 스퀘어(COSMAX Live Square)'를 신설했다고 밝혔습니다.

코스맥스 라이브 스퀘어는 고품질 라이브 방송을 위한 장비와 전문 인력을 갖춘 라이브 커머스 스튜디오입니다. 해외 인플루언서 및 전문 라이브 스트리머를 섭외하여 틱톡 라이브 쇼피 라이브 등을 통해 브랜드 제품을 홍보합니다.

시청자는 채팅을 통해 인플루언서에게 제품 정보 및 사용감을 질문하고 실시간으로 답변과 제품 시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 최초 해외 스튜디오 설립



코스맥스 라이브 스퀘어는 국내 업계 최초로 해외 스튜디오를 설립했습니다. 최근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라이브 커머스 수요 증가에 따라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 6개국(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국내 뷰티 브랜드를 홍보할 거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4년 하반기에는 필리핀에도 라이브 스튜디오 신설 계획이 있습니다.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기업에게 좋은 기회



매드스퀘어 관계자는 '해외 라이브 스트리밍 트렌드에 국내 고객 브랜드가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했다'며 '마케팅 전문 기업을 넘어 동남아시아 이커머스 시장의 BMS(Branding-Marketing-Sales) 원스톱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꿈꾸는 기업들에게 코스맥스 라이브 스퀘어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참고



■ 매드스퀘어는 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의 계열사입니다.
■ 동남아시아 최대 인플루언서 커뮤니티 플랫폼 '카리스AD'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일본에서 연애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인공지능 빵 등장!

일본 빵집 기무라야와 전자 회사 NEC는 연애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연애 AI빵'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AI 기술을 통해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특정 감정과 연결된 재료를 사용하여 5가지 맛의 빵을 만들었습니다.

■ 운명적 만남: 라즈베리와 크랜베리 핑크 머랭
■ 첫 데이트: 딸기와 휘핑크림 핑크 초콜릿
■ 질투: 자색고구마 송로버섯 오일 건포도
■ 눈물의 실연: 블루베리 바질 흑당
■ 서로 통하는 마음: 복숭아 용과 꿀

최근 일본 청년들의 연애 감소 추세에 착안하여 연애를 간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개발된 이 빵은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 인공지능 # 연애 # 빵 # 일본 # 기무라야 # NEC # 감정 # 체험 # 맛 # 화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LG전자 AI 아티스트 스테파니 딘킨스와 함께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특별 전시 개최

AI 기술과 인간의 소통 새로운 예술 경험 선사



LG전자는 AI 기술 기반의 새로운 경험과 변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세계적인 AI 아티스트 스테파니 딘킨스와의 협업 전시 'Late Shift x 스테파니 딘킨스'를 개최했습니다.

올레드 디스플레이 7대를 활용한 혁신적인 작품 공개



이번 전시에서는 LG전자의 97형 올레드 에보(evo)를 비롯한 올레드 오브제컬렉션 포제(Posé) 투명 올레드 사이니지 등 총 7대의 올레드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딘킨스의 신작 3점을 선보였습니다. 딘킨스는 AI AR/VR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2023년 LG 구겐하임 어워드의 첫 번째 수상자이기도 합니다.

관람객과 소통하는 AI 창 '우리가 기계에 들려주는 이야기'



특히 주목받은 작품은 관람객과 소통하는 AI 창입니다. 관람객은 '우리가 기계에 들려주는 이야기'라는 주제로 자신의 생각을 마이크를 통해 전달하면 AI가 올레드 TV 화면을 통해 대답하는 색다른 경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전시장 한편에서는 AI가 그린 예술 작품도 압도적인 올레드 화질로 생생하게 선보였습니다.

LG전자 공감지능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 제시



LG전자는 AI가 사용자를 더 배려하고 공감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으로 재정의하고 있습니다. 올해 출시된 LG 올레드 에보는 AI 성능을 한층 강화하여 영상 제작자의 의도를 고려해 색을 보정하는 등 더욱 섬세하고 감동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합니다.

LG전자는 앞으로도 올레드 디스플레이 기술과 AI 기술의 융합을 통해 예술과 기술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문화 경험을 선사할 계획입니다.



#LG전자 #AI #스테파니딘킨스 #구겐하임미술관 #올레드에보 #공감지능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