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SK스퀘어 2023년 실적 발표 및 2024년 계획

2023년 실적



■ 연결 매출: 2조 2765억원
■ 영업손실: 2조 3397억원
■ 순손실: 1조 3148억원
■ 주요 손실 원인: SK하이닉스 지분법손실 2조 526억원

2024년 계획



■ 기존 포트폴리오 체질 개선


* 손익 개선 및 수익 모델 변화 유도

■ 반도체 밸류체인 신규 투자 추진


* 반도체 중심 투자회사 정체성 강화
* 투자법인 TGC스퀘어 설립 및 1000억원 공동 출자
* 일본과 미국 중심 개별 투자 진행

주주환원



■ 경상배당수입 30% 이상 및 의미 있는 투자 성과 일부 주주환원
■ 2023년 10월: 1063억원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총발행주식수 1.8%)
■ 2023년 8월 9일 ~ 2024년 2월 8일: 2000억원 자사주 매입 (총발행주식수 3%)
■ 조만간 이사회 결의 통해 2000억원 자사주 소각

기타



■ SK쉴더스 투자성과 회수 8600억원
■ 나노엔텍 매각 515억원
■ SK플래닛 일부 지분매각 350억원
■ SK쉴더스 스웨덴 발렌베리家 투자회사 EQT파트너스로부터 2000억원 투자 유치
■ 원스토어 미국 나스닥 상장사 디지털터빈과 5000만 달러 투자협력
■ 원스토어 글로벌 게임사 크래프톤으로부터 200억원 투자 유치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한컴 2023년 실적 발표: 신사업 확보와 수익성 개선 모두 달성

2024년 2월 18일



한글과컴퓨터(한컴)는 2023년 사업년도 내부결산 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매출액 2711억원 영업이익 346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별도기준으로는 매출액 1280억원 영업이익 412억원을 기록하며 연결 및 별도기준 모두에서 안정적인 실적을 나타냈습니다.

핵심 성과:



■ 수익성 개선:

연결기준 영업이익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

■ 신사업 확보:

클라우드 SaaS 사업 확대 매출의 클라우드 제품군 비중 10% 상회

■ 본업 강화:

한컴오피스 한컴독스 웹기안기 등 주요 제품 매출 증가

향후 계획:



■ 공공분야 디지털 전환 사업 적극 참여
■ AI 사업 영역 확장: 한컴독스 AI 정식 버전 출시 한컴 도큐먼트 QA 및 한컴 어시스턴트 베타 버전 출시
■ 기술력 있는 기업 투자 지속

한컴은 2023년 신사업 확보와 수익성 개선 모두 달성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향후 공공분야 디지털 전환 사업과 AI 사업 확장을 통해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아이티비즈

참고:



■ 본 글은 위 기사의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 일부 내용은 생략되었을 수 있습니다.
■ 원본 기사를 확인하려면 다음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한싹 2023년 역대 최고 실적 달성!

2024년 2월 15일 - 한싹은 2023년 연간 실적을 발표하며 창사 이래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결기준 매출액은 250억원 영업이익 26억원 당기순이익 3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4.5% 41.9% 46.5% 증가했습니다.



주요 성장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망간자료전송(망연계)을 포함한 보안 솔루션 사업의 고른 성장
■ 공공 클라우드 전환에 발맞춘 클라우드 보안 사업 확장
■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따른 신규사업 확대

특히 클라우드 구독형 서비스 실적 증가 홈네트워크 보안 신규 매출 발생 유지관리 서비스의 안정적인 성장이 호실적을 이뤄낸 요인으로 꼽힙니다.



한싹은 2024년에도 지속 성장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 기존 사업의 기술 고도화와 융합을 통한 시장 경쟁력 강화
■ 신규사업 투자 확대 및 신제품 순차적 출시를 통한 새로운 수익원 확보

주력 신기술 개발 분야는 인공지능(AI) 보안과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SECaaS)입니다.



또한 국방망에 특화된 보안통제 시스템 다양한 IT 인프라 환경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보안 융합 솔루션 및 서비스 등을 상반기 내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주도 한싹 대표는 '급변하는 IT 환경에서 앞선 기술과 빠른 시장 선점이 지속 성장의 원동력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올해에도 융합보안 기업으로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맞는 선제적 기술 개발과 민첩한 사업 추진으로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는데 주력하여 호조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