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려동물 개체식별기술 ITU-T 국제표준 사전 채택
- 동물의 코지문 등 신체적 특징 활용해 반려동물 개체 식별 가능 -
2023년 9월 21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 8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UN산하 ITU-T SG17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텔레바이오 인식기술을 이용한 반려동물 개체식별 기술에 대한 ITU-T 국제표준(X.1097)이 사전 채택됐다고 밝혔다.
KISA 김재성 박사와 펫기업인 파이리코(김태헌 대표이사)는 지난 20년 4월부터 약 3년 6개월에 걸쳐 '텔레바이오 인식기술을 이용한 반려동물 개체식별 인증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는, 반려견·반려묘 등 반려동물의 비문(코지문)·안면 등 신체적 특징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반려동물의 개체를 식별할 수 있는 보안인증 기술이다.
사전 채택된 국제표준(X.1097)의 주요 내용으로 반려동물의 비문·안면 등 생체정보 획득 장치 및 개체식별 인증플랫폼 기능 요구사항, 반려동물 비문·안면인식 알고리즘 성능 시험방법, DB 구축 지침 등이 정의되어 있다.
해당 국제표준 개발을 주도한 KISA 김재성 박사는 '해당 국제표준이 추후 최종 채택으로 이어져 반려견 신체 내부에 생체이식칩을 삽입하는 기존의 동물 등록방식을 개선하고, 저조한 동물 등록률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새로운 개체식별 보안인증 기술로써 널리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제표준 채택 의미
이번 국제표준 채택은 한국이 반려동물 개체식별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의 동물 등록 방식의 개선과 저조한 동물 등록률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반려동물 등록 현황
2023년 7월 기준, 국내 반려동물 등록 수는 약 1000만 마리다. 이는 전체 반려동물 수의 약 50% 수준으로, 여전히 저조한 편이다. 반려동물 등록은 유기동물 발생 예방과 분실·유실 시 신속한 반환을 위해 중요하다.
향후 전망
이번 국제표준 채택으로 반려동물 개체식별 기술은 더욱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한국의 기술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반려동물 관련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공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규격공개]공인전자문서 데이터 연계 기능 개인정보 영향평가 (0) | 2023.09.22 |
---|---|
[사전규격공개] 2023년 블록체인산업단 협약 사업 회계 정산 용역 (0) | 2023.09.21 |
넷아이디 클라우독 제품 보안 업데이트 권고 (0) | 2023.09.21 |
[사전규격공개] 블록체인 홈페이지 구축 용역 (0) | 2023.09.21 |
(재공고) 가명정보 활용 종합지원플랫폼 개인정보 영향평가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