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계열에서도 크롬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지만
root 계정인 경우에는 실행이 안 된다.
이 경우 수고를 한번 해야 한다.
vi /usr/bin/google-chrome-stable
또는 자주 쓰는 에디터로 열어서
맨 마지막 줄에 보이는
exec -a "$0" "$HERE/chrome" "$@"
여기에 --user-data-dir --test-type --no-sandbox 옵션을 추가해준다.
exec -a "$0" "$HERE/chrome" "$@" -user-data-dir --test-type --no-sandbox
-user-data-dir 만 추가해줘도 된다고 하니 본인에 맞게 사용하면 되겠다.
같은 이유로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는 아래 파일을 열어 같은 옵션을 넣어줘야 한다.
vi /usr/bin/naver-whale-stable
반응형
'프로그래밍 관련 유용한 자료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메모리 점유율 상위 10 프로세스 조회 (0) | 2022.05.18 |
---|---|
우분투 데스크톱 바탕화면에 앱 바로가기 아이콘 추가하기 (0) | 2022.04.05 |
리눅스 쉘에서 새창으로 열기 (0) | 2022.03.27 |
Linux - 디스코드 웹훅을 이용해 스토리지 사용량 알림 받기 (2)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