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ISA, 중소기업 서비스 보안 취약점 매뉴얼 개정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중소기업 서비스 개발·운영 환경 주요 보안 취약 사례별 대응방안 매뉴얼 개정본을 발간했다.
개정된 매뉴얼에는 형상관리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중요정보 유출 사례와 컨테이너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환경 구축 사례 등이 신규 추가됐다.
또한, 클라우드 이용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공유 계정 사용, 보안 설정 미흡 등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취약 사례를 보강하고 관련 점검 항목을 세분화했다.
개정된 매뉴얼은 KISA 보호나라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KISA는 '디지털 전환과 사이버 공격의 조직화 등으로 보안 위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본 매뉴얼을 통해 기업의 안전성 및 보안 수준이 제고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
■ 형상관리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중요정보 유출 사례 추가
■ 컨테이너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환경 구축 사례 추가
■ 클라우드 이용 기업의 공유 계정 사용, 보안 설정 미흡 등 취약 사례 보강 및 점검 항목 세분화
■ KISA 보호나라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공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규격공개] 24년 웹 하드업체 보안실태 점검 용역 (0) | 2023.11.30 |
---|---|
2023년 제2회 사이버보안 정책 포럼 워크숍 개최(12.12) (0) | 2023.11.30 |
KISA-대한변리사회, “2023 도메인이름 분쟁조정 실무교육” 진행 (0) | 2023.11.30 |
KISA, 2023 스팸데이터 개방 성과공유회 개최 (0) | 2023.11.29 |
KISA, AI 시대 강원지역 정보보호를 위한 방향 제시하다! (0)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