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전원 옵션 화면을 찾아야 한다. 윈도우 7 ~ 윈도우 8.1 까지는 제어판을 찾아들어가면 되고, 윈도우 10, 11 은 아래 시작버튼 옆에 있는 돋보기(검색)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검색창이 뜨고 '제어판' 이라고 입력하면 제어판 아이콘이 나타난다. (아래 화면은 윈도우 11 기준)
제어판 창이 뜨면 우측 상단에 있는 보기 기준을 '큰 아이콘' 또는 '작은 아이콘' 을 선택한다.
그리고 '전원 옵션' 아이콘을 찾아 더블클릭하여 실행한다.
기본 옵션은 '권형 조정(권장)' 으로 선택되어 있을 것이다. 만약 전기세를 절약하고 싶어 '절전' 을 선택한다면 성능이 꽤 하락할 것이다.
대부분 고성능 옵션은 '추가 전원 관리 옵션' 부분에 숨겨져 있다.
'추가 전원 관리 옵션' 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고성능'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하면 PC 성능이 확실이 올라간다.
SQL 에서 10초 걸리던 쿼리가 2초 이내로 줄어든 경험을 하고 나서는 이 옵션을 반드시 사용한다.
물론 전기를 더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세가 늘어나긴 하겠지만, 성능을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다면 반드시 설정하자.
숨겨져 있는 '최고의 성능' 옵션도 활성화 시켜서 선택할 수 있지만, 오류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가 많아 소개하지 않는다.
윈도우 7 부터 사용 가능하고, 윈도우 서버에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윈도우 서버 사용자라면 반드시 사용하길 강력히 추천한다.
'IT 소식 및 활용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방화벽 cmd 명령어 (0) | 2021.12.21 |
---|---|
윈도우즈 CMD 에서 curl 로 디스코드 웹훅 전송 (0) | 2021.12.11 |
docker 시작, 정지하기, 내부 접속하기 (0) | 2021.07.28 |
docker 컨테이너, 이미지 삭제 (0) | 2021.07.23 |
삼성 덱스 연결 시 화면꺼짐, 화면잠금 시간 설정하기 (0) | 202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