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국인터넷진흥원 분석장비 기반 보안성능 시험 악성파일 검증 및 분석 업무 제안요청서 사전 공개

1. 사업 개요



■ 사업명: 분석장비 기반 보안성능 시험을 위한 악성파일 검증 및 분석
■ 예산액: 80000000원(부가세 포함)
■ 공개기간: 2024년 3월 3일 ~ 2024년 3월 7일

2. 주요 내용



■ 제안요청서(규격서 시방서 등)는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유효하지 않은 URL 삭제됨] 확인 가능
■ 입찰 참여 기회 등을 제한하는 사항이 있을 경우 메일(cont@kisa.or.kr)로 의견 제출 가능
■ 의견 제출 기한: 2024년 3월 7일
■ 의견 제출 시 참고: 제안요청 내용 구매 규격 등

3. 문의



■ 한국인터넷진흥원: 042-860-6000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가상현실 전문 위드비어 매스웍스와 손잡고 전력 시스템 개발 가속화

나주 기반 스타트업 위드비어 매트랩과 시뮬링크 도입으로 개발 과정 단축 및 안전한 테스트 환경 구축



글: 김문구 기자



2024년 2월 20일



1. 위드비어 매스웍스 스타트업 프로그램 참여



■ 2020년 설립 실시간 시뮬레이션과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 가상 전력 시스템 구축 솔루션 제공
■ 매스웍스 스타트업 프로그램 참여 통해 제품 출시 기간 단축 및 시장 성공적 진출

2. 매스웍스 소프트웨어 도입으로 전력 시스템 모델링 최적화



■ 시뮬링크 활용으로 정밀한 가상 테스트 환경 구축
■ 심스케이프 일렉트리컬 및 시뮬링크 리얼타임 툴박스 활용으로 모델링 최적화 및 안전한 테스트 환경 구축

3. 위드비어 매스웍스 도입으로 개발 효율성 향상



■ 오형록 위드비어 CEO: '매스웍스 소프트웨어 도입으로 구현 및 검증 과정 단축 및 모델 중심 직관적 개발 프로세스 구축'
■ 강효석 매스웍스코리아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매트랩과 시뮬링크 연구원 및 개발자를 위한 안전한 테스트 환경 구축 지원'
■ 위드비어 국내 사업 확장 및 최고의 전력 시스템 테스트 솔루션 기업 성장 목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텔레다인르크로이, 업계 최초 PCIe 6.0 사양 지원 크로스싱크 PHY 기술 출시

PCIe 6.0 시스템 및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획기적인 솔루션



텔레다인르크로이는 자사 특허 제품인 크로스싱크(CrossSync) PHY 기술이 PCI 익스프레스(Express) 6.0 사양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새로운 PCIe 6.0 CEM 인터포저 PE6117UIA-X는 텔레다인르크로이의 웨이브마스터(WaveMaster) 8000HD 또는 랩마스터(LabMaster) 오실로스코프에서 동작하는 크로스싱크 PHY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됩니다.

크로스싱크 PHY 기술의 주요 특징:



■ 업계 최초로 PCI 6.0 물리 계층과 프로토콜 계층을 동시에 확인하는 크로스 레이어 분석 솔루션
■ PCIe 6.0의 새로운 PAM4 신호 방식과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
■ 엔지니어에게 완전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PCIe 인터페이스 테스트를 간소화
■ 오실로스코프와 프로토콜 분석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통합하여 시장 진입 시간 단축
■ 동작 중인 링크 상태에서 문제를 빠르게 식별

크로스싱크 PHY 기술은 PCIe 6.0 시스템 및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획기적인 솔루션입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텔레다인르크로이 웹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KISA, 온라인 암호모듈 검증 관리 및 사전검증 서비스 제공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정보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함께 2023년 11월 6일(월)부터 온라인 암호모듈 검증 관리 및 사전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암호모듈 검증 관리 서비스는 암호모듈 시험 신청부터 검증 완료까지 원스톱으로 시험 현황 및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암호모듈 시험·검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이 회원가입 및 승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암호모듈 사전검증 서비스는 정식으로 암호모듈을 시험하기 전에 점검 차원에서 기업 스스로 테스트할 수 있는 서비스다. 검증대상 암호알고리즘에 대한 구현 적합성, 운영환경에서 수집된 잡음원에 대한 엔트로피 평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암호모듈 시험·검증을 받고자 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누구나 회원가입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KISA 권현오 디지털산업본부장은 '기존에는 오프라인으로 시험·관리해야 함에 따른 기간 소요가 있었으나, 온라인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암호모듈 개발·시험 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암호모듈 검증 관리 및 사전검증 서비스 누리집: https://www.kcmvp.or.kr

주요 내용

■ 온라인으로 암호모듈 검증 관리 및 사전검증 서비스 제공
■ 암호모듈 시험 신청부터 검증 완료까지 원스톱 관리
■ 암호모듈 시험 준비 및 기간 단축 기대

참고

■ 암호모듈: 국가정보통신망에서 정보의 유출, 위·변조, 훼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성·무결성·인증·부인방지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 암호모듈 검증: 암호모듈이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