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충남TP 이차전지 핵심 소재·부품 양산성 검증 플랫폼 구축 본격화

충남테크노파크(충남TP)는 충청권 이차전지 기업의 소재·부품 양산성 검증을 위한 신규 셀 제조설비 구축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사업인 '이차전지 핵심 소재·부품 양산성 검증 플랫폼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총 6종의 셀 제조 장비가 구축됩니다.

■ 양산형 레이저 노칭장비
■ 고정밀 패키징 자동화 설비
■ 양산형 자동 전극 제조·관리 시스템
■ 전극제조용 드라이룸
■ 고정밀 스태킹 장비

신규 셀 제조설비는 양산성 검증 관점에서 소재·부품 기술 검증 및 평가 프로세스 개발을 통해 기업을 지원하고 노후화된 기존 셀 제조라인의 단점을 개선합니다.

양산형 레이저 노칭 장비 및 고정밀 패키징 자동화 설비는 7월에 구축될 예정이며 2차 연도에는 양산형 자동 전극 제조·관리 시스템과 전극제조용 드라이룸 3차 연도에는 고정밀 스태킹 장비 구축을 통해 지역 소재·부품 기업의 셀 제조·평가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김상호 충남TP 센터장:

'신규 셀 제조설비는 제조 및 양산 관점에서 사전 검증과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여 실제 라인 평가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적재적소의 지원을 통해 지역 이차전지 소재·부품 기업의 성장을 도모할 것입니다.'

주요 내용:



■ 충남TP 이차전지 핵심 소재·부품 양산성 검증 플랫폼 구축 본격화
■ 총 6종의 신규 셀 제조설비 구축
■ 양산성 검증 관점에서 소재·부품 기술 검증 및 평가 프로세스 개발
■ 노후화된 기존 셀 제조라인 개선
■ 지역 소재·부품 기업의 셀 제조·평가 지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CES 2024, 전기차 시대 준비하는 소재·부품·에너지 기업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 박람회 CES 2024에서 전기차 시대를 준비하는 소재·부품·에너지 기업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LG이노텍은 자율주행·전기차용 첨단 전장 부품을 선보였다.

4.3m 크기의 대형 자율주행·전기차 목업(Mockup)에 첨단 운전자지원 시스템(ADAS)용 카메라 모듈, 라이다, DC-DC 컨버터, 2세대 충전용 통신 컨트롤러(EVCC), 800V 무선 배터리 관리시스템(Wireless BMS) 등 18종의 전장 부품을 탑재했다.

에네오스는 전기차용 윤활유를 선보였다.

전기차 부품들의 원활한 작동과 전비 향상을 돕는 전용 윤활제를 개발했다. 또한, 데이터센터용 액체냉침 기술도 선보였다.

이처럼 전기차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재·부품·에너지 기업들도 전기차에 적합한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