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SKT 글로벌 통신사 4곳과 AI 합작법인 설립

SKT는 2024년 2월 26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24에서 도이치텔레콤 소프트뱅크 싱텔 이앤 등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소속 4개사와 AI 사업 협력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목표는 통신사 특화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입니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독일어 아랍어 등 5개 국어를 시작으로 전 세계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다국어 LLM 개발에 착수합니다. 합작법인은 연내 설립 예정이며 구글 MS 등 빅테크에 빼앗긴 AI 주도권을 통신사 연합군을 구성해 맞선다는 구상입니다.

SKT는 이번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전세계 약 13억명 고객 기반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규모의 경제를 구축해 사업구조 혁신을 가속화하고 AI 기술 고도화 비용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기대입니다. 또한 MWC24를 통해 연합군 규모를 키우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전세계 20여개 통신사를 초청해 AI 협의체인 '글로벌 텔코 AI 라운드테이블(GTAR)'을 열고 얼라이언스 참여를 제안했습니다.

유영상 SKT 대표는 '전세계 13억 통신 가입자가 통신사 특화 LLM을 통해 새로운 AI 경험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합작법인 설립은 AI 시대에 통신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KISA, 스팸데이터 개방으로 사회문제 해결 노력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29일 서울 엘타워에서 '2023 스팸데이터 개방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스팸데이터 활용 사례 및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여기관들은 ▲2023년도 스팸동향 및 데이터개방 현황 ▲주식스팸데이터를 활용한 시장경보 스팸관여과다 종목 지정 ▲도박스팸데이터를 활용한 불법경마 차단 협업 ▲불법대출·보이스피싱 등 미끼광고 차단 및 대응 ▲근로·자녀 장려금 사칭 스팸문자 대응협력 등의 내용으로 발표했다.

KISA 정원기 이용자보호단장은 '스팸데이터 개방·활용 협업은 상호 간 보유하지 못한 자원과 역할을 보완하여 사회 현안 해결에 기여하는 좋은 사례'라며, 'KISA는 앞으로도 협업 모델을 지속 발굴하고,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고품질의 완성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성과



■ 단말기 '스팸으로 신고' 기능 UI 개선으로 신고 편의성 향상
■ 전년 대비 6배 증가한 약 2.3억 건의 스팸데이터 확보
■ 삼성전자와 단말기에서 악성문자 필터링 서비스 개발·운영 협약 체결

향후 계획



■ 스팸데이터 공유 및 개선방안 논의
■ 협업 모델 지속 발굴
■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고품질의 완성형 데이터 제공 노력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