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년, AI 반도체 시장의 주인공은 누구일까?

글로벌 시장:



■ 엔비디아, 여전히 시장 지배적이지만, 가격대 성능비 및 와트당 성능 문제는 여전.
■ 미국, 중국, 한국 등 각 국가에서 AI 반도체 스타트업들이 성장하고 있음.
■ 엔비디아 대체 가능한 제품 등장 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

주요 기업:



■ 엔비디아:

70% 이상 시장 점유율, H200 및 GH200 출시 예정.

■ 셀레브라스:

WSE-2 칩으로 대형 단일 칩 시스템 구축, IPO 도입 고려.

■ 그래프코어:

IPU 개발, 미국 수출 규제로 어려움 겪고 있음.

■ 텐스토렌트:

RISC-V 기반 AI 칩 개발, 그레이스컬 칩셋 출시 예정.

■ 캠브리콘:

중국 AI 반도체 기업, 연이은 손실로 존폐 위기.

한국 기업:



■ 퓨리오사AI:

워보이, 레니게이드 AI 가속기 출시, 엔비디아 대체 가능성.

■ 리벨리온: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아톰 출시 예정.

■ 사피온: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X330 출시.

■ 딥엑스:

비전 및 자율주행용 AI 토탈 솔루션 출시.

2024년 전망:



■ AI 가속기 시장 성장 예상.
■ 엔비디아 대체 가능한 제품 등장 시 경쟁 심화.
■ 생태계 구축 중요.
■ 한국 AI 스타트업 성장 기대.

참고:



■ 글 출처: IT동아 남시현 기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SK하이닉스, 400단 이상 고적층 낸드플래시에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적용 추진

SK하이닉스

, 메모리 '게임 체인저' 기술로 불리는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을 400단 이상 고적층 낸드플래시에 적용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은 반도체(다이)를 범프(돌기) 없이 구리로 직접 연결하는 기술로, 초고층 낸드 구현의 핵심 기술로 평가됩니다.

SK하이닉스

는 이미 2026년 양산 예정인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에 하이브리드 본딩 적용을 검토 중이었는데, 이번에 낸드까지 적용 범위를 넓히기로 했습니다.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

은 메모리 성능 향상과 더불어 두께를 줄이는 효과가 있어, 완제품이나 모듈 제작에도 유리합니다.

SK하이닉스

는 차세대 낸드에서 소재 혁신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낸드 저장 게이트 소재인 텅스텐 대신 저항이 낮은 몰리브덴 적용을 검토 중입니다.

SK하이닉스

의 이번 발표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
■ *

참고:



■ 본 글은 2024년 2월 1일 전자신문 기사 'SK하이닉스 '메모리 게임 체인저는 '하이브리드 본딩'…400단 낸드도 적용 검토''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R&D 과제 수행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연구 개발용 서버 및 보안장비 구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R&D 과제 수행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연구 개발용 서버 및 보안장비 구매를 위한 제안요청서(규격서)를 사전 공개했습니다.

이번 사업의 예산은 32,250,000원(부가세 포함)이며, 공개기간은 2023년 8월 11일 ~ 8월 18일입니다.

제안요청서(규격서)는 KISA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입찰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8월 18일 17시까지 KISA로 제안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KISA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국내 사이버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은 다양한 사이버 보안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 담당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버 보안을 관리하고, 보안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KISA는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된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을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에 보급하고, 국내 사이버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KISA는 이번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KIS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이란?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Cyber Security Orchestration)은 다양한 사이버 보안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보안 담당자는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버 보안을 관리하고, 보안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사이버 보안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
■ 보안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탐지
■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을 자동화
■ 보안 정책을 일관되게 적용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 보안 관리의 효율성 향상
■ 보안 위협에 대한 신속한 대응
■ 보안 정책의 일관성 유지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은 국내 사이버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수 기술입니다. KISA는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된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을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에 보급하고, 국내 사이버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