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국인터넷진흥원 민·관합동조사단 대응 강화 위한 연구개발 활동 지원 사업 공개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민·관합동조사단 대응 강화를 위한 사이버보안전문단 연구개발 활동 지원 사업의 제안요청서(규격서)를 사전 공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업 내용



■ 민·관합동조사단 대응 강화를 위한 사이버보안전문단 연구개발 활동 지원

예산



■ 70000000원(부가세 포함)

공개 기간



■ 2024년 3월 3일 ~ 2024년 3월 7일

문의



■ 한국인터넷진흥원 (cont@kisa.or.kr)

참고 사항



■ 첨부된 제안요청서(규격서 시방서 등) 내용 중 입찰 참여 기회 등을 제한하는 사항이 있을 경우 메일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 후 회신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도 마련 필요성 연구 용역 공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도 마련 필요성 연구 용역을 수행할 업체를 모집합니다.

■ 사업명: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도 마련 필요성 연구 용역
■ 예산액: 45,000,000원(부가세 포함)
■ 공개기간: 2023년 8월 11일 ~ 8월 18일

본 연구는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법제도 마련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연구 결과는 전자정부 구현, 온라인 거래 활성화,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업체는 KISA 홈페이지를 통해 제안서를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KISA 홈페이지(www.kisa.or.kr)를 참조하십시오.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란?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E-authentication and Trust Service)는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에서 당사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신뢰성을 보증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전자신원확인 서비스는 전자문서에 서명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신뢰서비스는 전자문서가 위조되거나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는 전자정부 구현, 온라인 거래 활성화,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전자정부 구현에서는 전자문서에 서명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전자문서의 위조와 변조를 방지하고, 온라인 거래 활성화에서는 전자문서의 신뢰성을 보증하여 온라인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개인정보 보호에서는 전자문서에 서명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도 마련 필요성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는 전자정부 구현, 온라인 거래 활성화,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적 근거는 미흡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도를 마련하여 전자정부 구현, 온라인 거래 활성화,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도를 마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의 제공자와 이용자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규정해야 합니다. 둘째,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기준을 마련해야 합니다. 셋째,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의 제공자와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적 조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전자신원확인 및 신뢰서비스에 대한 법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전자정부 구현, 온라인 거래 활성화,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비상임이사 모집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2조에 따라 설립된 공공기관입니다. KISA는 인터넷의 안전하고 건전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비상임이사를 모집합니다.

비상임이사는 KISA의 정책 수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상임이사는 2년의 임기를 가지며, 연임할 수 있습니다.

비상임이사로 임명되려면 다음의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 인터넷·정보통신 및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관련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자
■ 청렴성과 도덕성 등 건전한 윤리의식을 소유한 자
■ 인터넷·정보통신 및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관련 국제감각을 지닌 자
■ 국가공무원법 제33조(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한 자

비상임이사 지원을 희망하는 사람은 2023년 8월 9일(수)부터 8월 23일(수)까지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지원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한 후, 다음의 주소로 우편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 (58324)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예산협력팀

비상임이사 임용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우수한 인재를 모집하여 KISA의 발전과 대한민국의 인터넷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