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3년 불법복제 SW 사용 현황: 제보 건수 1000건 넘어 침해 규모 100억 원 돌파
■ 2023년 불법복제 SW 제보 건수: 956건
■ 침해 규모: 100억 원
■ 가장 많은 불법복제 SW 유형: 일반사무용 SW (273건 29%)
■ 가장 높은 침해율 업종: 제조/화학 업종 (139건 27%)
■ 불법복제 SW 사용 유형:
* 정품 미보유 (62%)
* 라이선스 위반(초과사용 포함) (29%)
■ 불법복제 SW 사용의 위험:
* 기업에 리스크 발생
* SW 산업 전체에 악영향
■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2023년 불법복제 SW 사용 제보 건수가 연간 1000건을 넘어섰고 침해 규모는 1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불법복제 SW 제보 서비스 '엔젤'에 접수된 불법복제 프로그램은 총 956건으로 이 중 일반사무용 SW가 273건(29%)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화학 업종에서 139건(27%)으로 가장 높은 침해율을 보였습니다.불법복제 SW 사용 유형은 처음부터 정품 SW를 구입하지 않고 카피본이나 크랙 제품을 사용하는 '정품 미보유'가 62%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계약된 라이선스를 위반하거나 구입 SW 수량보다 더 많은 양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라이선스 위반(초과사용 포함)'도 2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는 SW 불법복제 사용이 기업에 리스크를 야기하고 SW 산업 전체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기업 차원에서 SW에 대한 철저한 주의·감독 및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SW 저작권 교육을 실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주요 내용
■ 2023년 불법복제 SW 제보 건수: 956건
■ 침해 규모: 100억 원
■ 가장 많은 불법복제 SW 유형: 일반사무용 SW (273건 29%)
■ 가장 높은 침해율 업종: 제조/화학 업종 (139건 27%)
■ 불법복제 SW 사용 유형:
* 정품 미보유 (62%)
* 라이선스 위반(초과사용 포함) (29%)
■ 불법복제 SW 사용의 위험:
* 기업에 리스크 발생
* SW 산업 전체에 악영향
출처
■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공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노그리드, 인젠트와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 협력 (0) | 2024.02.08 |
---|---|
교육부 “대학별 의대 정원 배정 4월 중…지역인재 60%이상 취지 공감” (0) | 2024.02.08 |
“소상공인 NFT로 제품 先구매”…중기부, 우리동네 크라우드 펀딩 고도화 (0) | 2024.02.08 |
[리뷰] 프레임 확장으로 활용도·가성비↑ AMD 라데온 RX 7600 XT (0) | 2024.02.08 |
함소아제약,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서 설 맞이 어린이 화장품 선물세트 할인 (1)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