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자율주행 시대 대비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 박차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이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해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CL은 현재까지 배터리, 자동차 부품, 소프트웨어 등 모빌리티 관련 모든 시험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여기에 더해, 다가올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해 다양한 센서 기반의 도로교통인프라 인식 성능평가와 인증을 위한 시험 방법 표준화와 자율주행 시험장 구축에도 힘을 쏟고 있다.
KCL은 현재 경찰청,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과 관련한 연구과제 3건을 수행하고 있다.
경찰청의 '레벨4(완전자율주행차) 대응 교통안전 인프라 표준 및 평가기술개발' 연구는 신호등, 교통안전표지, 노면 표시 등 교통안전 시설물의 정보 제공 방식을 변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정보 제공 방식은 운전자 시야를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자율주행차는 라이다, 카메라 등 핵심인지센서로 수집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변경이 필요하다. KCL은 표준암실을 활용한 '랩(Lab) 기반 실험환경 조사와 분석'을 통해 교통안전시설의 인프라별 특성을 고려한 성능 표준안을 제시하고 성능평가 분석 도구를 개발할 계획이다.
국토부의 '클라우딩 소싱 기반의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플랫폼 기술' 연구는 자율주행차에 탑재하는 정밀 전자지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당 지도에는 주행 환경에 대한 상세 정보가 담겨 자율주행 시스템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 KCL은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정보를 클라우드 소싱 기법으로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검증·변화한 정보로 갱신해 전용 지도를 만든다. 이를 개방형 플랫폼 형태로 여러 사용자에게 배포할 예정이다.
산업부의 '자율주행 인지예측 지능제어 차량 부품시험 기준 및 표준 평가기술개발사업' 연구는 환경 대응 센서 평가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다. 강우·안개·연기 등 기상 조건 변화를 고려한 모의 환경을 구축하고, 평가 시나리오를 만들어 기상 악조건 변화와 Lab 기반 성능평가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인지예측 센서시험 기준을 확립하고 표준 평가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KCL은 강원도·횡성군·도로교통공단·강원테크노파크와 협력해 강원도 횡성에 e-모빌리티 및 자율주행차 실증주행시험장을 구축하고 있다. 오는 2027년에 완료할 예정이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실증시험을 위한 실증주행시험장은 고속 주행도로, 도심 생활로, 굴곡 주행로, 등판로, 직선 주행로, 선회 시험로, 종합시험로 등을 갖추게 된다. 가드레일 방음벽, 블라인드 커브길,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시설 등 도로 주변 시설물까지 재현해 자동차가 실도로 주행 시 경험하는 모든 조건을 갖춰 완벽한 실증주행시험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KCL 관계자는 '국제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자율주행 표준 대응과 기업의 최신기술을 시험평가하고 인증까지 진행해 신속히 시장에 진출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자율주행차 기술의 선두를 가져오는데 기술파트너로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요약]
■ KCL은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해 다양한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KCL은 현재까지 배터리, 자동차 부품, 소프트웨어 등 모빌리티 관련 모든 시험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 여기에 더해, KCL은 다가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공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줌인] 본격 출시 시작한 ATX 3.1 파워 서플라이, 바뀐 점은? (0) | 2024.01.30 |
---|---|
삼성, 설 명절 맞아 협력사 물품대금 2조 1400억 조기 지급 (0) | 2024.01.30 |
[과학핫이슈] '이것' 두께로 5~10년 전부터 치매 발병 예측한다 (1) | 2024.01.29 |
네이버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 모바일 앱, B2B 시장으로 확장 (2) | 2024.01.29 |
여야, 민생 법안 두고 대격돌 예고… 민주당, 尹 '관권선거' 고발 시사도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