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프로그래머스 코딩역량인증시험 PCCP PCCE 온라인 접수 시작

개발자 평가·교육·채용 플랫폼 '프로그래머스'를 운영하는 그렙은 코딩전문역량인증시험(PCCP)과 코딩필수역량인증시험(PCCE)의 3~4월 온라인 접수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PCCP

는 소프트웨어 개발자 전공자 등 프로그래밍 중·상급 학습자를 위한 시험으로 프로그램의 효율적 구현 고급 알고리즘 역량 등을 평가한다. 기업에서는 직원 채용 재직자 역량 인증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는 소프트웨어 인재 선발 교육 연계 과정 등에 활용하고 있다.

PCCE

는 보편적인 코딩 학습과 역량 측정을 위한 시험으로 프로그래밍 문법과 기초 알고리즘 역량을 평가한다. 기업에서는 임직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 대학 및 교육기관에서는 코딩 입문 교육 성취도 평가 등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그렙은 전국 50여 개 대학교에서 PCCP PCCE 자격증 특강을 운영하고 지역 청년 및 본교생 대상 특강을 운영하기도 했다. 또한 교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및 학점 인정 활용 방안으로 PCCE PCCP를 시행한 대학 사례도 많았다.

현재

LG CNS SK C&C KB국민은행 현대캐피탈 교보생명 대한항공 등 국내 300여 개 기관에서 PCCP와 PCCE를 채용과 직원 역량 평가 등에 활용하고 있다.

프로그래머스

는 'PCCP PCCE 자격증을 도입한 대학 교직원 및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게 형성되고 있으며 활용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라며 '향후 더욱 많은 기업 학교들이 PCCP PCCE를 활용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널리 알리는데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클라우드 생성형 AI 시장을 선도하다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는 바로 '생성형 AI'입니다. 생성형 AI는 사전에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기술로 이미지 텍스트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성형 AI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클라우드'입니다.

### 클라우드가 생성형 AI에 필수적인 이유

1. 막대한 데이터 처리 능력



생성형 AI는 학습과 작동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합니다. 클라우드는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통해 이러한 데이터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2. 유연한 컴퓨팅 자원 확장



생성형 AI의 작업량은 상황에 따라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필요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탄력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가능합니다.

3. 최적화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생성형 AI 작업에 최적화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투자 없이 최첨단 기술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 기업의 선두 경쟁

현재 생성형 AI 시장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 (Azure Google Cloud)을 기반으로 강력한 데이터 처리 능력과 맞춤형 칩 AI 개발 도구 등을 제공하며 경쟁하고 있습니다.

### 국내 상황과 전망

국내에서도 네이버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등이 합작하여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AI 공동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국내 기업들 역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 결론

생성형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잠재력이 매우 높은 기술입니다. 클라우드는 이러한 기술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반이며 앞으로 더욱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크리모, 스마트 토이로 창의력과 치료를 돕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출신의 이석 대표가 설립한 크리모는 스마트 토이로 아이들의 창의력과 치료를 돕는 스타트업이다.

크리모의 대표 제품은 영유아의 창의력과 논리력을 높이는 STEAM 교구인 ADDI와 코딩 교육용 스마트 블록 기반 피지컬 학습 교구인 인터코디이다. ADDI는 레고 블록처럼 쌓거나 조립해 모양을 만들 수 있으며, 인터코디는 온습도나 조도 검출 블록, 마이크와 IR 수신 블록, 사이니지 블록과 가변저항 블록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크리모는 이 제품을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돕고 있다. 또한, 2022년과 2023년 CES에서 에듀테크 부문과 디지털 헬스케어 부문에서 각각 혁신상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크리모는 최근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완화를 위한 혼합형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치료제는 크리모의 스마트 토이와 임상 연구를 통해 검증된 인지행동 치료를 결합한 것이다. 2025년 6월 식약처 품목 허가를 목표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석 대표는 '스마트 토이를 통해 아이들이 창의력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며 '또한, 디지털 치료제를 통해 ASD 아동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크리모는 스마트 토이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강화해 해외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록 개발을 통해 소외된 계층을 위한 스마트 토이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