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퀄컴 MWC 2024에서 AI 기반 5G 모뎀 및 와이파이 솔루션 공개

퀄컴 AI로 통신 기술의 미래를 선도하다



글로벌 무선통신 기술 기업 퀄컴 테크날러지는 2024년 2월 26일 개막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에서 인공지능(AI) 기반 5G 모뎀 및 와이파이 솔루션을 공개하며 통신 기술의 미래를 제시했다.

퀄컴 AI 허브로 개발자의 혁신을 가속화하다



퀄컴은 스냅드래곤 및 퀄컴 플랫폼 기반 장치 개발을 위한 '퀄컴 AI 허브'를 선보였다. 75개 이상의 AI 모델 기반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퀄컴 AI 허브는 개발자의 혁신을 가속화하여 다양한 폼팩터 및 작동 환경에서 온디바이스 AI의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한다.

X80 5G 모뎀-RF 시스템으로 5G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다



퀄컴은 5G AI 프로세서와 5G 어드밴스드 레디 아키텍처를 결합한 7세대 5G 모뎀-안테나 솔루션 'X80 5G 모뎀-RF 시스템'을 공개했다. NB-NTN(협대역 비지상망) 기능을 통해 위성 통신을 지원하고 6X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으로 안정성과 속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AI 기반 밀리미터파 범위 확장 기능은 가정 내 무선 장치의 성능 및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패스트커넥트 7900으로 와이파이 7 시대를 열다



퀄컴은 와이파이 7을 지원하는 '패스트커넥트 7900' 칩을 선보였다. 와이파이 7 블루투스 초광대역(UWB) 기술을 하나의 칩에 통합한 패스트커넥트 7900은 AI 기술을 통해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HBS 멀티링크 기술을 지원하여 최고의 와이파이 성능을 구현한다.

퀄컴 테크날러지는 MWC 2024를 통해 AI 기반 통신 기술의 혁신을 선도하며 미래 연결 세계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자세한 내용은 퀄컴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제목: 퀄컴, CES 2024에서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포트폴리오 대거 공개

퀄컴은 지난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2024에서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포트폴리오를 대거 공개했다.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는 자동차의 연결성, 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 등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 솔루션이다. 퀄컴은 이번 CES에서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의 최신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의 주요 기술



■ 생성형 AI:

퀄컴은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에 생성형 AI 기술을 도입해 차량의 운전자와 승객에게 더욱 개인화되고 안전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 자율주행:

스냅드래곤 라이드 플랫폼은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와 탑티어 공급업체가 효율적인 자동운전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 커넥티드 서비스:

스냅드래곤 카-투-클라우드 서비스는 차량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의 적용 분야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스노 모빌, 전기 스쿠터, 삼륜차, 전기 자전거, ATV 및 농업용 차량 등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에 적용될 예정이다.

퀄컴은 이번 CES에서 선보인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포트폴리오를 통해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