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3년 불법복제 SW 사용 현황: 제보 건수 1000건 넘어 침해 규모 100억 원 돌파

2023년 불법복제 SW 사용 제보 건수가 연간 1000건을 넘어섰고 침해 규모는 100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불법복제 SW 제보 서비스 '엔젤'에 접수된 불법복제 프로그램은 총 956건으로 이 중 일반사무용 SW가 273건(29%)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화학 업종에서 139건(27%)으로 가장 높은 침해율을 보였습니다.

불법복제 SW 사용 유형은 처음부터 정품 SW를 구입하지 않고 카피본이나 크랙 제품을 사용하는 '정품 미보유'가 62%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계약된 라이선스를 위반하거나 구입 SW 수량보다 더 많은 양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라이선스 위반(초과사용 포함)'도 2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는 SW 불법복제 사용이 기업에 리스크를 야기하고 SW 산업 전체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기업 차원에서 SW에 대한 철저한 주의·감독 및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SW 저작권 교육을 실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주요 내용



■ 2023년 불법복제 SW 제보 건수: 956건
■ 침해 규모: 100억 원
■ 가장 많은 불법복제 SW 유형: 일반사무용 SW (273건 29%)
■ 가장 높은 침해율 업종: 제조/화학 업종 (139건 27%)
■ 불법복제 SW 사용 유형:
* 정품 미보유 (62%)
* 라이선스 위반(초과사용 포함) (29%)
■ 불법복제 SW 사용의 위험:
* 기업에 리스크 발생
* SW 산업 전체에 악영향

출처



■ 한국소프트웨어저작권협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디지털 외식 플랫폼 먼키, 황덕수 고문 영입하며 외식 산업 디지털 전환 본격화

먼키, 아이리버 전 CTO 황덕수 고문 영입



디지털 외식 플랫폼 먼키는 외식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강화하기 위해 전 아이리버 개발 총괄이었던 황덕수 고문을 영입했다고 2일 밝혔다.

황덕수 고문, 아이리버 전성기 주역



황덕수 고문은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 출신으로 아이리버 부사장 CTO를 거쳐 페이도스 대표와 신평반도체 CTO를 역임했다. 특히 아이리버 CTO 재직 시절, 김혁균 대표와 함께 글로벌 히트 상품인 미키 마우스 MP3, U10, 딕플 시리즈 등을 기획 개발하며 전성기를 이끈 경험이 있다.

먼키, 차세대 외식 디바이스 개발 본격화



황덕수 고문은 '외식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SW뿐 아니라 하드웨어 개발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김혁균 대표와 함께 '세상을 놀라게 할 디바이스와 SW를 개발하자는 데 의기투합했다'고 밝혔다. 이에 2000년대 아이리버 전성기를 이끈 핵심 개발자들과 제품 엔지니어들이 먼키에 합류하여 차세대 외식 디바이스 개발에 힘쓰게 된다.

김혁균 먼키 대표, '아이리버 핵심 개발 멤버들과 함께 혁신적 디바이스 선보여'



김혁균 먼키 대표는 '먼키는 주문앱, 키오스크, 포스 솔루션, 테이블오더까지 올인원으로 연동되는 애플과 같은 이너 생태계를 구축하여 고객에게 차원 다른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아이리버 핵심 개발 멤버들의 합류로 외식업에서 경험하지 못한 혁신적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덧붙였다.

블로그 글 요약



■ 먼키, 외식 산업 디지털 전환 강화 위해 황덕수 고문 영입
■ 황덕수 고문, 아이리버 전 CTO, 전성기 주역
■ 먼키, 차세대 외식 디바이스 개발 본격화
■ 김혁균 먼키 대표, '아이리버 핵심 개발 멤버들과 함께 혁신적 디바이스 선보여'

Improvement notes:



■ Removed unnecessary punctuation marks such as ' 와 ' 와 ' 와 ' 와 ″ 와 ' 와 ' 와 `
■ Added line breaks (
) at the end of each sentence for better readability on blogs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디스페이스코리아, 국내 1위 완성차에 전기차 충전기 검증장비 공급



디스페이스코리아가 국내 1위 자동차 업체에 전기차 충전기 검증장비 '스마트 HIL솔루션'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스마트 HIL솔루션은 전기차 충전기의 주요 전자 부품을 소프트웨어(SW) 기술로 검사하는 장비다. 무선충전, V2G 에너지 전송, 비상전력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

이번 공급은 디스페이스코리아가 국내 완성차 업체에 스마트 HIL솔루션을 공급한 최초 사례다. 디스페이스코리아는 그동안 메르세데스-벤츠, BMW,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스마트 HIL솔루션을 공급해왔다.

손태영 디스페이스코리아 대표는 '전기차 충전 국제 표준에 대한 선제 대응은 자동차 제조사와 충전기 개발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라며 '기술 고도화, 컨설팅, 전문 엔지니어링 제공 등을 통해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Key Points



■ 디스페이스코리아, 국내 1위 자동차 업체에 전기차 충전기 검증장비 공급
■ 스마트 HIL솔루션, 전기차 충전기 주요 전자 부품 SW 검사
■ 무선충전, V2G 에너지 전송, 비상전력 제공 등 다양한 기능 지원
■ 디스페이스코리아,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스마트 HIL솔루션 공급
■ 손태영 디스페이스코리아 대표 '전기차 충전 국제 표준 대응 중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IoT 보안인증 SW공급망 보안 적용방안 마련**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IoT 보안인증 SW공급망 보안 적용방안 마련을 위한 제안요청서(규격서)를 공개했습니다. 이번 사업의 예산은 50,000,000원(부가세 포함)이며, 공개기간은 2023년 7월 11일부터 14일까지입니다.

제안요청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IoT 보안인증을 위한 SW공급망 보안 적용방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

* IoT 보안인증을 위한 SW공급망 위험평가 방법론 개발
* IoT 보안인증을 위한 SW공급망 보안 취약점 관리 방법론 개발
* IoT 보안인증을 위한 SW공급망 보안 대응 절차 개발

제안서 접수는 2023년 7월 15일 18시까지 KISA로 제출하면 됩니다. 제안서 작성 및 제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제안요청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사업은 IoT 보안인증을 위한 SW공급망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사업입니다. KISA는 이번 사업을 통해 IoT 보안인증을 받은 제품의 SW공급망 보안을 강화하고, IoT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IoT 보안인증 SW공급망 보안 적용방안 마련의 필요성**

IoT 보안은 IoT 기기의 보안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IoT 기기는 다양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어 보안 위협에 노출되기 쉽습니다. 특히, IoT 기기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SW)가 탑재되어 있어 SW 공급망 보안이 중요합니다.

SW 공급망 보안은 SW를 개발, 배포, 유지보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안 위협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SW 공급망 보안을 강화하면 IoT 기기의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습니다.

**IoT 보안인증 SW공급망 보안 적용방안 마련의 기대효과**

IoT 보안인증 SW공급망 보안 적용방안 마련은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 IoT 보안인증을 받은 제품의 SW공급망 보안 강화
* IoT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력 향상
* IoT 보안 인식 제고

KISA는 이번 사업을 통해 IoT 보안을 한층 더 강화하고, IoT 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SW 공급망 보안관리 체계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제안요청서(규격서)를 사전 공개합니다.




* 사업명: SW 공급망 보안관리 체계구축 방안 마련

* 예산액: 63,000,000원(부가세 포함)

* 공개기간: 2023년 06월 29일 ~ 2023년 07월 04일



제안요청서(규격서)를 확인하고자 하는 업체는 KISA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KISA는 이번 사업을 통해 SW 공급망의 보안을 강화하고 기업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KISA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KISA 홈페이지: https://www.kisa.or.kr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