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전자계약시스템 온라인 접수 ([http://cont.kisa.or.kr](http://cont.kisa.or.kr))
4. 제안서 평가
■ 일시:
2024년 3월 20일 13:30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 방법:
제안서 발표(대면)평가
■ 장소:
한국인터넷진흥원 나주청사 1층 평가회의실
5. 입찰참가자격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에 의한 경쟁 입찰자격소지자 ■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76조의 규정에 의한 부정당업자 아님 ■ KISA 전자계약시스템 회원가입 및 이용자 등록 완료 ■ 중소기업 또는 소상공인 확인서 소지 (유효기간 내)
2022년 11월 시행된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는 1년 동안 총 5개 제품의 인증을 받으며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신속확인제는 신기술 및 융·복합 등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국가·공공기관 등 공공시장 진입을 열어 주는 제도입니다.
초기부터 안정적인 시장 안착
국제 공통평가기준(CC인증)과 성능평가 등 유사한 제도는 시행 첫해 획득(통과) 실적이 1~2건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신속확인제는 초기부터 안정적인 시장 안착에 성공했습니다.
현장 혼선 해소 위한 체크리스트 도입
다만 현장에서는 자사 제품이 신속확인제 대상 제품인지 판단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했습니다. 이에 KISA는 올해 신속확인제 개선책 중 하나로 체크리스트를 제시할 계획입니다. 체크리스트는 국가용 보안요구사항에서 정의하는 34종의 제품유형 운용 환경과 보안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유사 항목별로 분류하여 제작될 예정입니다.
정보보호기업의 자체 판단 지원
체크리스트가 완성되면 정보보호기업은 이를 바탕으로 자사 제품이 신속확인제 대상 제품인지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ISA 관계자는 '정보보호기업이 자체적으로 신속확인제품 여부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체크리스트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2023년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제 제품 현황
| 제품 | 인증일 | |---|---| | 에프원시큐리티 F1-웹캐슬 | 2022년 4월 | | SGA솔루션즈(브이이지스) | 2022년 5월 | | 프라이빗테크놀로지(패킷고) | 2022년 9월 | | 소프트캠프(실덱스 리모트 브라우저) | 2022년 10월 | | 아톤(mOTP) | 2022년 11월 |
기대 효과
신속확인제는 혁신 정보보호제품의 공공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공공기관의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