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은 바이오스가 UEFI 만 지원하면서 예전 CMOS 바이오스를 지원하던 MBR 은 더이상 사용하지 못하고 GPT 를 사용해야만 한다. (UEFI 만 지원하는 메인보드들이 많아졌다. 이제 옮겨갈 때도 됐고...)

 

그런데 윈도우에서 GPT 로 변환하려면 파티션을 모두 삭제하고 해야한다. 그렇다면 데이터는 모두 삭제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데이터 손실없이 GPT 로 변환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윈도우 10 RS2 (1703) 이상에서 mbr2gpt 가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단, 윈도우 10 버전이 너무 낮은 경우는 최신 업데이트를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다.

 

1) Windows Powershell 관리자모드 실행

2) 디스크 정보(번호) 확인
Get-Disk | ft -auto

3) 가능여부 체크
mbr2gpt /validate /disk:디스크번호 /allowFullOS

4) 변환 실행
mbr2gpt /convert /disk:디스크번호 /allowFullOS

 

2) 디스크 정보(번호) 확인 과정에서 GPT 로 변환을 원하는 디스크의 번호를 확실하게 확인해야 한다.

부팅 디스크라면 보통 0 번이겠지만, 하드디스크나 SSD 를 여러개 사용하는 경우 꼭 0 번이 아닐 수도 있다.

 

이렇게 확인한 디스크번호를 3), 4) 과정에서 디스크번호를 입력하고 사용하면 된다.

 

 

주의) 혹시 모를 데이터 손실을 위해 반드시 백업을 하기 바란다.

 

 

반응형
반응형

2014년쯤(?) 인텔 4세대 하스웰 i5-4670 을 구매하고 7년을 훌쩍 넘어 인텔 12세대 엘더레이크 i5-12500 을 구매했다.

예전에는 거의 매년 한세대가 출시되면 바로바로 바꿨었는데, 7년은 엄청난 기간이다.

바꾸고 싶은 마음은 계속 있었으나 결혼한 후로는 내꺼를 구매하는게 쉽지 않았다. 살 수 있는데도 안 샀다.

 

하이마트에서 L포인트 구매시 20% 캐시백이라는 엄청난 이벤트를 알게 되면서 바로 구매를 위해 알아보기 시작했다.

 

CPU 는 가성비로 입소문이 난 i5-12400 을 택해서 결제했다가 2만원도 안 되는 차이로 내장그래픽이 한단계 위인 i5-12500 으로 다시 결제했다. 지금 쓰는 RX970 은 팔고 내장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생각이다. 게임도 안 하고, 채굴도 안 하니 외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할 이유는 거의 없다.

 

보드는 선택지가 많지 않았다. B660 으로 갈 것이냐, Z690 으로 갈 것이냐... 12700 이상 또는 오버클럭인 모델 K 를 사면 모를까 가격도, 성능도 모두 갖춘 B660 으로 구매하기로 마음먹고, 그 중에서도 워낙 유명한 MSI 박격포 외에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바로 MSI B660M 박격포로 결정하고, WIFI 로 갈것이냐 말것이냐만 더 고민했다.

하지만... WIFI 를 굳이 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결론에 도달하면서 바로 MSI B660M 박격포 DDR4 로 구매를 했다.

게다가 램 뱅크가 4개인 모델이라 더욱 맘에 들었다. 게다가 랜 2.5GB 지원도 좋았다. 아직 필요는 없지만 ㅜㅠ

 

CPU, 메인보드, 램만 새로 구입하고 케이스, 파워, SSD 등은 모두 7년 전 구입한 것들을 그대로 사용할 것이다.

 

CPU : 인텔 12세대 i5-12500

메인보드 : MSI B660M 박격포 DDR4

VGA : 내장그래픽카드

램 : 삼성 DDR4-21600 64GB (32GB x 2개)

SSD : 삼성 970 evo NVME 512GB 외

파워 : TOPOWER TOP-500D

케이스 : 풍III

 

MSI B660M 박격포 DDR4

램은 다들 튜닝램을 사서 오버클럭을 하지만, 나는 삼성 시금치램을 사기로 했다.

(시금치램은 발열판 없는, 초록색 기판이 그대로 드러난 램을 뜻한다.)

그 중에서도 가성비가 좋다는 삼성 DDR4-21600 (2666MHz) 을 구매했다. 목표는 램 오버 3600MHz 다.

삼성 DDR4-21600 (2666MHz) 32GB x 2

제일 먼저 박격포를 박스에서 꺼냈다.

MSI B660M 박격포 DDR4

깔끔하다. 칩셋, 후면부, 전원부 등에 방열판이 있어 더 믿음직스러웠다. NVME 방열판도 맘에 들었다.

MSI B660M 박격포 DDR4 - NVME 발열판
MSI B660M 박격포 DDR4 후면부

CPU와 램, NVME SSD 를 연결했다.

삼성 970 EVO NVME 는 작년인가 사서 PCIe x 2.0 으로 사용해왔다. 이제서야 3.0 으로 실력발휘를 하게 됐다.

듀얼채널을 사용하기 위해 램은 2, 4번 뱅크에 연결했다. 1, 3번 보다는 2, 4번이 오버클럭에 더 유리하다고 한다.

1번 뱅크가 간섭이 생길 수 있어 더 그렇다고 한다.

그런데... 램 가격 좀 내려가면 더 구매해서 풀 뱅크로 사용할 거라 의미가 없어지기는 하다.

MSI B660M 박격포 DDR4 - 주요부품 조립 사진

조립이 끝나고 바로 윈도우 11을 설치했다. 그리고 최소한의 프로그램만 설치하고 바로 램 오버를 시작했다.

CPU 는 오버클럭이 안 되는 모델이라 시도 조차도 하지 않았다.

첫번째 시도 전압 조정없이 3200MHz 으로만 올렸는데 잘 됐다. TestMEM5(이하 TM5) 테스트도 통과.

3400MHz 도 무리 없이 잘 됐다. TM5 테스트도 통과.

 

3600MHz 를 시도했는데, 부팅 후 인터넷, PLEX 영상 등 문제는 없었으나 아무리 해도 TM5 에서 오류를 뿜었다. 

그래서 살짝 낮춰 3500MHz 로 시도했다. 성공. 그래서 바로 전압과 램타를 줄이기 시작했다.

지금은 3500MHz 20-21-21-43-560 전압 1.20v 상태로 안정화됐다.

여기에서 조금이라도 조이면 TM5 를 통과하지 못하던지, 부팅에 실패하던지 했다. 아! 전압은 더 낮춰보지 않았다.

 

시네벤치 테스트

 

이렇게까지 시금치 램 오버가 성공한 것은 메인보드 덕이다.

어느 유투버가 이런 말을 했다. 뭘 사야할지 모를때는 그냥 박격포를 사면 된다.

나도 동감한다. 아주 만족스럽다. 모르고 박격포를 사도, 최고의 선택이라 생각한다.

 

DDR5 램이 보편화되면 다시 박격포 모델로 구입할 예정이다.

 

 

 

MSI MAG B660M 박격포 DDR4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 방화벽을 cmd 또는 파워쉘을 통해 즉시 추가,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물론 제어판이나 설정을 통해 ui 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cmd 를 통해 작업을 하게 되면

 

배치파일 등으로 자동화 스크립트를 만들어 사용하면 매우 편리한 경우가 있다.

 

 

방화벽에 추가

netsh advfirewall firewall add rule name="방화벽1234" protocol=TCP dir=in localport=1234 remoteip=123.123.123.123 action=allow edge=yes

이 항목의 이름은 '방화벽1234' 가 된다.

 

localport 만 사용하면 외부에서 접근하는 전체 ip 에 대해 포트 1234 를 접근허용한다는 것이고

remoteip 까지 사용하면 remoteip 에 적용된 ip 에만 포트 1234 를 접근허용한다는 것이다.


 

방화벽에서 삭제

netsh advfirewall firewall delete rule name="방화벽1234"

항목이름에 '방화벽1234' 인 항목을 삭제하는 명령어다.

 

 

이 두가지만 알아도 상당히 많은 것을 해낼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10 과 윈도우11에는 기본적으로 curl 이 포함되어 있다.

cmd 또는 powershell 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curl 로 디스코드 웹훅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curl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https://discordapp.com/api/webhooks/**** -d "{\"content\": \"전송할 메시지\"}"

 

아주 간단하다. 한줄이면 끝.

 

디스코드 웹훅을 생성하여 그 웹훅 URL 을 복사하여 교체하고

전송할 메시지만 바꿔서 엔터를 치면 바로 전송된다.

 

이를 배치파일 등에 적용하면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큰따옴표) 로 감싸는 것이다. '(작은따옴표) 로 하면 안 된다.

 

따라서 -d 부분은 "{\" 와 \"}" 로 감싸져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우선 전원 옵션 화면을 찾아야 한다. 윈도우 7 ~ 윈도우 8.1 까지는 제어판을 찾아들어가면 되고, 윈도우 10, 11 은 아래 시작버튼 옆에 있는 돋보기(검색)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검색창이 뜨고 '제어판' 이라고 입력하면 제어판 아이콘이 나타난다. (아래 화면은 윈도우 11 기준)

윈도우 11 돋보기 검색창에서 제어판 검색

제어판 창이 뜨면 우측 상단에 있는 보기 기준을 '큰 아이콘' 또는 '작은 아이콘' 을 선택한다.

 

제어판

그리고 '전원 옵션' 아이콘을 찾아 더블클릭하여 실행한다.

 

전원 옵션 - 고성능 선택

기본 옵션은 '권형 조정(권장)' 으로 선택되어 있을 것이다. 만약 전기세를 절약하고 싶어 '절전' 을 선택한다면 성능이 꽤 하락할 것이다.

 

 

대부분 고성능 옵션은 '추가 전원 관리 옵션' 부분에 숨겨져 있다.

 

'추가 전원 관리 옵션' 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고성능'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하면 PC 성능이 확실이 올라간다.

 

SQL 에서 10초 걸리던 쿼리가 2초 이내로 줄어든 경험을 하고 나서는 이 옵션을 반드시 사용한다.

 

물론 전기를 더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세가 늘어나긴 하겠지만, 성능을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다면 반드시 설정하자.

 

 

숨겨져 있는 '최고의 성능' 옵션도 활성화 시켜서 선택할 수 있지만, 오류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가 많아 소개하지 않는다.

 

 

윈도우 7 부터 사용 가능하고, 윈도우 서버에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윈도우 서버 사용자라면 반드시 사용하길 강력히 추천한다.

반응형
반응형

도커 시작하기

docker start <도커컨테이너명>

 

도커 정지하기

docker stop <도커컨테이너명>

 

 

도커 내부 접속하기

docker exec -it <도커컨테이너명> /bin/bash

 

반응형
반응형

현재 운영중인 도커 컨테이너 확인 방법

docker ps

 

도커 컨테이너 삭제 방법

docker rm [CONTAINER ID]

or

docker rm [CONTAINER NAME]

 

 

도커 이미지 확인 방법

docker images

 

도커 삭제 방법

docker rmi [CONTAINER ID]

or

docker rmi [CONTAINER NAME]

 

도커 컨테이너와 이미지를 한번에 삭제하는 방법

docker rmi -f [IMAGE ID]

or

docker rmi -f [IMAGE NAME]
반응형
반응형

삼성 덱스를 유무선으로 사용하다보면 자꾸만 화면이 잠긴다.

 

그러면 휴대폰 설정부터 확인하는데, 덱스는 덱스에 설정이 따로 있다.

 

 

덱스에서 설정에 들어가면 첫 메뉴로 Samsung DeX 가 나온다. 

 

 

 

이제 시간을 선택하면 된다.

 

아쉬운 것은 자동꺼짐 없음이나 충전하는 동안은 꺼지지 않게 하는 옵션을 찾지 못했다.

 

덱스로 영화라도 볼려면 몇번은 수고를 해야한다.

 

이 정도는 삼성에서 쉽게 수정해줄 수도 있을텐데, 몇년째 이러는거 보면 안 해줄라나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