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조기 예측 가능해졌다?
치매는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퇴행성 뇌질환입니다. 아직 원인과 치료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치매 환자와 가족들의 고통이 큰 질환입니다.
최근 미국 텍사스대 의대 연구팀이 뇌 MRI 영상을 분석하여 10년 전부터 치매 발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70~74세의 1000명을 대상으로 10년 전과 현재의 뇌 MRI 영상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뇌 회색질 외피 두께가 두꺼운 사람은 치매 발병 위험이 낮았고, 얇은 사람은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았습니다.
특히 회색질 외피 두께 수치가 하위 25%에 해당하는 사람은 다른 75%에 해당하는 사람보다 치매 발생률이 3배 이상 높았습니다.
연구팀은 회색질 두께가 치매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ApoE4 변이 유전자'와는 관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치매 조기 예측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회색질 두께를 치매 조기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생활습관을 지키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규칙적인 운동
■ 건강한 식단
■ 금연, 금주
■ 적절한 수면
■ 스트레스 관리
치매는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입니다. 평소 뇌 건강을 위해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공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설 명절 맞아 협력사 물품대금 2조 1400억 조기 지급 (0) | 2024.01.30 |
---|---|
[K-시험인증] KCL, 자율주행 시대 연다…인프라 구축 박차 (0) | 2024.01.30 |
네이버 ‘프리즘 라이브 스튜디오’ 모바일 앱, B2B 시장으로 확장 (2) | 2024.01.29 |
여야, 민생 법안 두고 대격돌 예고… 민주당, 尹 '관권선거' 고발 시사도 (0) | 2024.01.29 |
하나금융, 지역사회 소상공인 지원 위한 봉사활동 실시 (2)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