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T 멤버십 인앱 서비스, 월 이용자 26% 증가



KT가 지난해 출시한 멤버십 인앱 서비스가 월 이용자 26% 증가라는 성과를 거뒀다.

KT 멤버십 인앱 서비스는 통신 3사 최초로 앱 안의 앱으로, 음악, 웹툰, 웹소설,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KT는 멤버십 인앱 서비스의 연령대별 소비 패턴을 분석한 결과, 게임과 정보성 콘텐츠는 10~20대, 커머스와 웹툰, 웹소설은 30~40대, 음악 서비스는 40~50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니뮤직은 한 달에 35만 건 이상이 재생되고 있는데, 그 중 40~50대가 50%를 차지했다. 마들랜은 지난해 1월 구매건수가 2천 건 미만이었으나 1년만에 구매가 10배가량 늘어, 멤버십 할인 상품에 대한 고객의 폭발적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KT 고객경험혁신본부 이병무 본부장은 'KT 멤버십 인앱서비스는 고객 편의성과 만족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그룹사와 제휴사 서비스의 가입자 및 이용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일석이조'라고 말했다.

요약



■ KT 멤버십 인앱 서비스, 월 이용자 26% 증가
■ 10~20대는 게임과 정보성 콘텐츠, 30~40대는 커머스와 웹툰, 웹소설, 40~50대는 음악 서비스 이용률 높음
■ 지니뮤직은 40~50대, 마들랜은 30~40대 이용률 높음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정부, 웹툰·웹소설 도서정가제 적용 제외 결정



정부는 22일 웹툰·웹소설을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웹툰·웹소설의 소장 가격이 할인될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 부담이 줄어들고, 자유로운 할인 프로모션으로 웹소설 산업이 성장하는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서정가제는 판매 목적 간행물에 정가를 표시하고, 소비자에게 정가대로 판매하는 제도다. 다만, 정가의 15% 이내에서 가격 할인과 경제상의 이익을 자유롭게 조합해 판매할 수 있다.

전자출판물에 해당하는 웹툰·웹소설도 현재 도서정가제의 적용을 받고 있지만, 웹툰·웹소설은 새로운 형식으로 발행된 신생 콘텐츠로 산업구조 등에서 일반도서와 다른 특성을 보인다. 때문에 도서정가제의 획일적 적용보다는 웹툰·웹소설을 위한 별도 적용방안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정부는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웹툰 독자와 창작자의 의견을 반영해 웹툰·웹소설을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다만, 출판계 등의 우려를 감안해 창작자 등 피해가 없도록 공정한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영세서점의 활성화와 소비자들의 혜택을 늘리기 위한 할인율 유연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