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애플, EU 내 아이폰 앱 정책 대폭 개방



애플이 EU 내 아이폰 앱 정책을 대폭 개방한다.

■ 제3자 앱스토어 허용: EU 내 이용자는 애플의 앱스토어 외에도 제3자 앱스토어를 통해 앱을 내려받을 수 있다.
■ 제3자 결제 허용: 앱스토어에서 애플의 인앱결제 대신 자체 결제 시스템 등 제3자 결제도 사용할 수 있다.
■ NFC 기능 개방: EU 내 이용자는 애플페이 외 타사의 결제 서비스도 아이폰에서 NFC 결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 웹브라우저 기본 설정 선택 허용: EU 내 이용자는 아이폰에서 사파리 외 다른 웹브라우저를 기본으로 설정할 수 있다.
■ 웹킷 외 브라우저 엔진 허용: EU 내 타 웹브라우저 개발사들이 자체 브라우저 엔진을 적용할 수 있다.
■ 게임 스트리밍 앱 허용: EU 내 앱스토어에서 단일 앱을 통해 게임 카탈로그를 제공하는 게임 스트리밍 앱을 출시할 수 있다.

이번 정책 개방은 EU의 디지털 시장법(DMA)에 따른 것이다. DMA는 시장에서 문지기 역할을 하는 지배적 플랫폼 사업자들의 지위 남용을 규제하는 법안이다.

애플은 이번 정책 개방에 대해 이용자 보호를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애플이 DMA 규제를 피하기 위한 조치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한편, 이번 정책 개방은 유럽에서만 적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2024년 스마트폰 업계, AI가 대세



2024년 스마트폰 업계에서 AI가 대세가 될 전망이다.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CPU) 성능이 향상되고 모바일용 생성 AI가 속속 등장하면서,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고급 AI 기능을 개발해 신제품에 적극 설치하고 있다.

구글은 지난 12월 생성 AI 제미나이를 공개했다. 제미나이를 통해 구글은 픽셀 8 프로에 음성 메모 자동 요약, 대화형 앱 자동 답장, 사진·동영상 화질 최적화 등의 AI 기능을 적용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비보는 블루LM을 공개하고, 이것을 스마트폰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블루LM을 활용해 블로그 게시물 작성, 그림 생성, 사람의 음성 이해 등이 가능하다.

레노버 모토롤라는 올해 선보일 스마트폰 신제품에 고성능 CPU와 AI 기능을 탑재한다고 밝혔다. 폴더블 스마트폰 레이저 시리즈의 신제품을 포함한 여러 제품에 차세대 AI 기능과 이를 뒷받침할 CPU를 적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1월 17일 열린 갤럭시 언팩 2024에서 갤럭시 S24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 제품에는 고도화된 AI 비서와 생성 AI 가우스가 적용됐다. 가우스는 사진 제작과 편집, 문서 요약과 이메일 작성, 코딩 등을 빠르고 정확하게 해낸다. 또한, 세계 최초로 실시간 인공지능 외국어 통번역 통화 기능인 AI 라이브 통역 통화가 지원된다.

시장조사기업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7년까지 생성 AI를 탑재한 스마트폰이 약 5억 2200만 대 출하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비중 40%에 달하는 수치다.

AI 기능은 스마트폰 사용 경험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거나, 사진과 동영상을 자동으로 편집하는 등의 기능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외국어를 몰라도 통역을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어 해외 여행이나 비즈니스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제목: 마이크로소프트, AI 앞세워 시총 1위 탈환

마이크로소프트가 애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2021년 11월 이후 약 2년 2개월 만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를 앞세워 빅테크 기업 중 가장 빠르고 적극적으로 AI를 도입하고 있다. 지난해 2월 검색 엔진인 '빙'에 AI 챗봇 기반 검색 기능을 출시한 데 이어 마이크로소프트365, 윈도우, 엣지 등에도 AI 조수 코파일럿을 도입하는 등 주요 제품과 서비스 전반에 AI 기능을 통합 중이다. 또한 오픈 AI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독점 공급을 앞세워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영향력 또한 확대하고 있다.

반면 애플은 AI 경쟁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애플은 그간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적용하기보다는 어느 정도 성숙한 뒤에 내놓는 모습을 보였고, 아직까지 생성형 AI를 내세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내놓지 않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총 1위 탈환은 AI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사건이다. AI는 앞으로도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요약



■ 마이크로소프트, AI 앞세워 시총 1위 탈환
■ 마이크로소프트, AI 도입 적극적
■ 애플, AI 경쟁에서 뒤처져
■ AI의 중요성 재조명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의무대상자 조사 및 지원용역 사전 공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2023년 10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의무대상자 조사 및 지원용역 제안요청서(규격서)를 사전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용역은 「정보통신망법」 제47조제2항 및 동법 시행령 제49조에 따라 2024년도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 의무대상자 현황을 파악하고, 의무대상자 대상으로 인증 획득을 위한 컨설팅 및 지원을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용역 예산은 98,000,000원(부가세 포함)으로, 수행기간은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이다.

제안요청서(규격서)는 KISA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배너)를 클릭해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